구리 사회단체 월례회의비 추가 지급해야 하나

구리시 지역 내 사회단체에 월례회의비를 추가 지급하자는 조례개정안과 관련해 시와 시의회가 각각 상급기관에 자문을 구해 놓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9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김용호 의원은 최근 실시된 정례회에서 지역 내 새마을지회와 바르게살기협의회, 자유총연맹, 적십자 등 총 4개 사회단체에 월례회의비를 추가로 지급하자는 조례개정안을 발의했다. 이에 따라 시는 안전행정부에, 시의회는 법제처에 각각 상위법 위반 여부에 대해 질의해 놓고 있으나 현재까지 해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시는 현재 기존 사회단체 지원조례법에 따라 주민자치위원 220명에게 월 5만원, 통장 280명에게 월 4만원의 회의비를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김 의원이 발의한 조례 개정안이 통과되면 1천여명에 해당되는 회원들에게 1인당 4만원씩만 지급해도 년 4억원의 예산이 추가로 필요하다. 김 의원은 지역의 궂은 일에 봉사하고 있는 분들에게 마땅한 대우를 해 주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를 놓고 일부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조례개정을 추진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지방재정법 및 보조금지급조례 등에 해당되지 않지만 의회에서 발의된 개정안인 만큼 상위법 위반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전국적으로 사례를 찾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구리=김두호기자 kdh25@kyeonggi.com

구리시 ‘교통공원’ 등 차질

구리시가 내년 말까지 마무리 짓기로 한 늘푸른공원 내 어린이 교통공원과 물놀이 공원 조성 등의 사업 계획이 주민들의 반대로 차질을 겪고 있다. 21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내년 말까지 모두 21억원을 들여 인창동 일대 늘푸른공원 부지 3천여㎡를 따라 교통조형물과 영상시설 전시관 등을 갖춘 연면적 800여㎡ 규모(지상 2층)의 실내교육장과 교통신호 및 안전표지 교육시설 등을 갖춘 실외교육장 등 교통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4월 2013년도 공유재산관리계획 변경계획(안)을 마련, 시의회 심의 의결 절차를 마쳤지만 주민들이 생활불편 등을 우려하며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은 주변 도로가 4~5m 정도로 비좁아 평소에도 교통이 혼잡한 상황인데 교통공원 조성으로 인한 자동차 이용자들의 증가로 심각한 생활 불편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고 반대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지금까지 실시설계 용역 등 제반 절차를 중단하는 등 늦어도 올 하반기 공사를 시작하려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와 함께 늘푸른공원 내 물놀이장 착공도 주민들의 반대에 가로막혔다. 시는 지난 8월 말까지 모두 9억원을 들여 늘푸른공원 한복판을 따라 조합놀이대와 워터스프레이, 발 물놀이장, 워터 바스켓 등 최신식 물놀이 시설을 두루 갖춘 물놀이장을 조성, 개장할 계획이었다. 시는 공사업체를 선정하는 등 제반 절차를 마무리 지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지금까지 착공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교통공원과 물놀이 시설은 지역 내 보육시설 및 초등학생들에게 현장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주변 도로환경 개선 등 반대하는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리=한종화기자 hanjh@kyeonggi.com

엄마는 안심ㆍ아이는 안전한 마을 만들어가요

엄마의 마음을 담아 아이들과 함께 즐기는 유쾌하고 즐거운 안전안심 마을 만들기에 앞장서요. 지난 19일 ㈔구리여성회가 운영하는 품앗이 돌봄센터 소속 꿈꾸는 마을과 아이들 회원들이 꿈마을 잔치를 열었다. 꿈마을 잔치는 한화생명과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한국여성재단이 후원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사업이다. 선수연 코디네이터는 꿈마을 잔치는 그동안 꿈꾸는 마을과 아이들이 진행한 것들을 마을주민들에게 선보이고, 안전ㆍ안심 마을 만들기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며 다 함께 놀거리와 볼거리, 먹을거리를 즐기는 축제로 기획했다고 웃음을 보였다. 이날 엄마들은 오카리나 공연을, 아이들은 우쿨렐레 공연을 펼쳤고 엄마와 아들이 함께 비즈팔찌 만들기와 가면 꾸미기, 국화전 부쳐 먹기, 시화전, 캔버스 자화상 그리기, 텐트 안에서 성 평등 그림책 읽기 등 다양한 체험 행사에 참여했다. 특히 정성을 듬뿍 담은 엄마 표 솜사탕과 떡꼬치는 아이들에게 최고 아이템으로 사랑받았다. 조은영 회장은 아이들이 안전하고 엄마들이 안심할 수 있는 마을 만들기는 주민들이 서로 얼굴을 익히고 소통하며 배려하는 것에서 시작한다며 꿈 마을 잔치는 유쾌하고 즐거운 안전안심마을 만들기의 시작점이라고 강조했다. 구리=한종화기자 hanjh@kyeonggi.com

구리시 공원부지 해제 차일피일 ‘속타는’ 토지주들

구리시가 조선왕조 역사문화 공원을 추진하면서 축소된 공원부지에 대한 해제를 4년 가까이 미루고 있어 해당 토지주들이 재산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6일 구리시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14년 말까지 개발제한구역인 사노동 일대에 모두 640억원을 들여 조선왕조를 소개하는 박물관과 체험관, 전시관 등 역사문화 체험시설 및 교육시설 등을 갖춘 조선왕조 역사문화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2009년 10월 구리시 도시관리계획을 재정비하면서 조선 왕조의 창건자 태조(太祖)를 비롯한 역대 왕과 왕후를 모신 9개의 능이 있는 동구릉 주변의 사노동 일대 개발제한구역 15만6천424㎡를 공원부지로 지정했다. 하지만 당시 국토해양부는 같은해 12월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안)을 심의하면서 공원 규모를 축소해 당초 면적 보다 6만7천910㎡가 줄어든 8만8천514㎡만을 승인했다. 그러나 시는 국토해양부가 축소 승인한 지 4년이 다 되도록 축소된 공원부지인 6만7천910㎡의 해제를 하지 않고 있다. 해당 토지주 중 한 명인 김씨(63)는 안그래도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에서 공원부지 지정으로 이중으로 제한을 받고 있어 불이익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면서 정부에서 공원부지를 축소한 지 4년 가까이 지났는데 아직까지 공원부지 해제를 미루고 있는 지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공원부지 면적이 10만㎡가 넘으면 도시관리계획 변경은 물론 도시기본계획까지 변경해야 한다면서 늦어도 내년 말까지 제반 절차를 마무리 해 공원부지를 해제하는 등 해당 토지주들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조선왕조 역사문화 공원 조성과 관련, 현재 사업비 마련을 위한 경기도의 투융자 심사 절차를 밟고 있다. 구리=한종화기자 hanj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