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7억들인 CCTV 일부기능 아직도 ‘먹통’

오산시가 7억여원 들여 설치한 CCTV가 3개월 넘도록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물의(본보 16일자 6면)를 빚은 가운데 아직도 CCTV의 일부 기능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 15일 오산시가 CCTV가 모두 정상 가동되고 있다고 밝힌 것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치안 문제와 직결되는 CCTV의 고장을 고의로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17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억8천만원을 들여 163대의 CCTV를 설치했으나, 지난 1월 중순 이후 80여대 이상에서 녹화기능과 위치추적기능, 영상표출, 음성신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시공사 측에 수리를 요청했다. 이후 CCTV 고장 문제가 논란이 되자 시는 지난 10일 이후 모든 기능이 정상작동되고 있다고 밝혔으나, CCTV 통합관제소에 대한 현장확인은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거부했었다. 이에 본지가 방범용 CCTV가 설치된 4곳을 무작위로 선정해 비상벨 작동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오산정보고 주변, 오산고등학교 후문, 매홀중학교 주변, 삼익아파트 뒤 등 4곳 모두 비상벨이 작동하지 않았다. 비상벨 기능이란 위급 시 비상벨을 누르면 관제소와 자동으로 연결돼 통화할 수 있는 장치로 시가 지난해 CCTV 설치한 43개소 전체에 설치됐다. 또 운암지구대 내 관제소를 확인한 결과 CCTV가 설치된 43곳 중 6곳의 화면이 표출되지 않았으며, 지나가는 사람과 자동차 등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녹화하는 위치추적기능은 29곳 중 8곳만 작동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CCTV 운영 시스템을 교체하면서 일부 기능에 문제점이 있었다며 현재 CCTV와 관제소 간의 조정작업이 속속 진행되고 있는 만큼 늦어도 5월 말까지는 모든 기능이 정상적 작동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산=강경구기자 kangkg@kyeonggi.com

개원 3년된 ‘오산시국제화센터’ 내달 10일 운영 종료

다음달 10일로 예정된 오산시국제화센터(영어체험마을)의 운영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수강생과 학부모들이 반발하고 있다. 국제화센터 수강생과 학부모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는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오산시가 지난 3년간 홍보와 관리감독을 소홀히 했음에도 불구, 적자운영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수업을 듣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에도 개원한 지 3년 밖에 되지 않은 국제화센터 운영을 종료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또 비대위는 오산시가 국제문화센터 폐쇄와 함께 여성회관에 영어 특별반을 편성해 운영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현재와 같은 정상적인 수업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지난달 국제화센터 폐쇄 반대서명 운동에 나서 시민 1천80명의 서명을 받은 진정서를 오산시에 접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오산시 관계자는 오산시가 지난해 2월 혁신교육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교육정책도 공교육 활성화로 변경됐다며 이에 따라 19개 학교에 영어회화 전문 강사를 지원하고 있어 부득이 국제화센터를 운영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기존 국제화센터 수강생과 학부모들의 민원을 수렴해 여성회관에서 특별반을 편성해 운영하는 대안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산시국제화센터는 오산시가 부지를 제공하고 ㈜웅진씽크빅이 건축비, 프로그램 개발비 등 50억여원을 들여 개원, 지난 2009년부터 ㈜웅진씽크빅이 위탁운영을 맡아 왔다. 오산=강경구기자 kangk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