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럼피스킨병' 유입 사수하라… 방역기 동원해 소독나서

안성시가 제1종 가축 전염병인 럼피스킨병 유입 차단을 위해 긴급 방역에 나섰다. 지난 20일 충남 서산과 평택, 김포 등지에서 럼피스킨병이 발생한 지 5일여 만이다. 안성시는 26일 럼피스킨병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방역기동반 13개 반과 방역·방제차량 13대를 동원해 농장 및 축사 1천525곳 주변을 대상으로 방역소독에 나서고 있다. 방역소독을 통해 농장 내 흡혈 곤충의 방제에 필요한 방역약품을 지원해 럼피스킨병 전파 매개체를 차단한다. 럼피스킨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리와 모기, 진드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감염된다. 현재 안성지역은 한우농가 1천53곳에 6만3천518마리, 육우농가 361곳에 2만3천370마리, 젖소농가 232곳에 1만2천444마리 등 농가 1천239곳에서 9만9천332마리를 사육 중이다. 이에 따라 시는 소 사육농가들의 행사와 모임 등 자제를 요청하고 외부인과 차량 등을 출입 금지시키는 등 가축전염병 확산 차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시는 농장주들에게 사육하는 소가 고열이 발생하거나 피부에 지름 1~5㎝의 혹이 생기거나 우유 생산량 감소 등 임상증상 발견 시 즉시 방역기관에 신고해주길 당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농장 내 소독은 물론 모기와 파리,진드기 등 흡혈 곤충에 대한 방역으로 가축 전염병을 막아야 한다. 철저한 방역에 농가들이 앞장서줘야 한다”고 말했다.

안성시, 분묘 개장·매장신고 관할 주민센터로 이관

안성시가 주민들의 민원 업무 불편을 해소시키고자 청내에서 처리됐던 개장과 매장신고를 주거지역 관할 주민센터로 이관한다. 안성시는 이 같은 내용에 대해 다음달 1일부터 분묘 개장과 매장신고 업무처리를 원활하고 주민 불편을 해결하고자 관할 주거지역에서 신속히 처리토록 하는 업무이관을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업무 이관은 시청과 20~30분 거리에 위치한 공도읍과 일죽면 등지에 대한 분묘 개장과 매장을 신고하고자 시청을 방문해 업무를 처리하는 주민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서 시행된다. 앞서 시는 지난 16일 편의 증진과 업무 효율성 처리를 위해 제217회 안성시의회 임시회 조례등심사특별위원회에 사무위임 안건으로 상정해 조례를 개정했다. 이에 따라 개정 전 분묘 소재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분묘 사진과 고인과의 관계확인 후 개장신고를 하면 되고 매장신고는 30일 이내에 사망진단서 등을 지참해 주민센터에 신고하면 된다. 시는 이번 업무 이관으로 시민들이 청 내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과 시간,경비 절약 등의 문제가 해결되면서 시민 중심과 시민 이익의 시정업무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보라 시장은 “멀리 떨어진 면 소재지 주민들이 직접 시청을 방문해 행정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불편이 있는 만큼 이를 신속히 해결하면서 주민들의 편의 증진을 위해 업무 이관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학용 의원 “LH 노후 임대주택 수선비 10년간 17조원 들어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보유한 공공임대주택 노후화로 향후 10년간 17조원의 수선유지비가 소요될 것으로 분석됐다. 국민의힘 김학용 국회의원(국토위원, 안성)은 LH 건설임대주택 노후화 현황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내년부터 오는 2033년까지 17조487억원이 노후시설개선 사업비가 들어 간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LH가 총 85만5천25가구를 보유,지난 8월말 기준 30년 이상된 가구는 10만2천234가구(약 12%), 20년 이상된 가구는 18만6천539(21.8%) 등에 달한다고 밝혔다. 주택 유형별로는 영구임대 10만1천938가구가 30년 경과됐으며 25년 이상~30년 미만 가구도 3만7천907가구, 50년 임대는 25~30년 미만이 1만6천883가구, 30년 이상은 296가구 등이라고 주장했다.. 노후 단지에 들어가는 수선유지비와 노후시설개선 사업비는 내년에만 1조1천212억원이 필요하고 아파트 연식이 더 쌓임에 따라 예산은 매년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에 따라 오는 2025년에는 1조2천223억원, 오는 2026년은 3천325억원 등 오는 2033년까지 매년 적게는 1조2천억원에서 많게는 2조4천억이 투입되는 사태가 발생하게 됐다. 이는 LH가 지난해 6월 재무위험기관으로 선정, 부채증가시 채무건전성 악화에 불을 지피는 격이 되면서 사업손실에 의한 재정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LH 측은 노후 임대주택 단지 재정비의 추진을 위해 기존 입주자의 이주 주택 확보가 중요하나 인근 건설 후보지 확보 및 대규모 공가주택 확보가 어려운 실정에 처해있다. 특히 재정비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거주민 이주를 최소화하는 단지 내 순차개발 등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 중으로 사업성 추가 확보를 위해 정부 재정지원과 고밀개발을 통한 세대수 확대 등을 관계 기관과 적극 협의 중이다. 김학용 국회의원은 “노후 시설개선사업은 노후주택 입주민들의 주거 안전과 여건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만큼 정부 예산이 확대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을 '인생사진' 명소... ㈜안성팜랜드, 이달말까지 '코스목동축제'

푸른 가을 하늘 아래 코스모스와 핑크뮬리가 아름답게 수놓은 농협안성팜랜드가 연일 관람객으로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분사는 이달 말까지 농협안성팜랜드에서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코스목동축제’를 성황리에 개최 중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번 축제를 맞아 안성팜랜드 내 9만9천여㎡에 달하는 넓은 들과 언덕인 ‘그림 같은 초원’에는 색색의 코스모스, 황화코스모스, 해바라기, 핑크뮬리 등이 만개했다. 특히 바람이 불 때마다 연분홍 파도가 넘실거리는 뮬리동산 꼭대기에 우뚝 선 한 그루의 소나무 ‘즐겁송’은 안성팜랜드가 문을 연 1969년 10월부터 이곳을 지켜온 랜드마크이자 인생 사진 명소로 명성이 자자하다. 푸른 가을 하늘과 맞닿은 코스모스가 만개한 ‘핑크로드’를 올해 새롭게 조성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현재 핑크로드 조성을 기념해 이곳에서 찍은 사진 또는 핑크뮬리와 찍은 사진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푸짐한 경품을 주는 행사도 진행 중이다. 체험목장에선 산양, 양, 염소 등 가축에게 먹이를 줄 수 있는 체험은 물론 시간대별로 가축놀이 한마당, 가축장기자랑, 가축퍼레이드, 돼지레이싱, 양떼몰이 등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이 열린다. 승마센터에서도 미니말 달리기, 한라마 릴레이, 마필 랜드투어 등 다채로운 이벤트를 마련했다. 소나무 산책길에도 다양한 가축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낸 가축 스토리보드를 설치했고 주말에는 마유비누·핸드크림, 절편, 치즈 만들기 등을 할 수 있는 상설 체험장을 운영한다. 개화 현황과 축제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안성팜랜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재영 분사장은 “코스목동축제는 농협안성팜랜드의 1년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는 시기에 열린다”며 “축제에서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멋진 인생샷과 소중한 추억을 남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목장 부지 128만9천㎡ 가운데 26만1천㎡ 규모로 들어선 농협안성팜랜드는 체험, 휴식, 교육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국내 최대 농축산 테마공원이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