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 '자연생태 체험관' 17일부터 무료 운영

과천시는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중앙공원 잔디마당에서 2012 과천자연생태체험관을 무료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과천자연생태체험관에는 살아있는 나비와 곤충, 동물들을 직접 만지고 체험함으로써 도심 속 어린들의 자연에 대한 동경심을 해소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꾸며질 예정이다. 생태체험관은 총 625㎡ 규모에 나비생태전시관을 비롯해 곤충관, 표본관, 동물관, 민물고기관, 이벤트관, 만들기체험관 등 7개 부스로 나눠 운영된다. 이 가운데 나비생태전시관은 폭포와 연못 등 나비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꾸며지며, 살아있는 노랑나비와 호랑나비 등 10여 종에 달하는 나비 2천500마리가 관람객들 머리 위로 날아다니는 진풍경을 연출한다. 곤충관에는 물속에 사는 물방개와 물자라를 비롯 숲속에 사는 장수풍데이와 사슴벌레 등 15종의 살아있는 곤충과 애벌레를 만져보고 관찰할 수 있다. 또 동물관에는 손으로 직접 만지기도 하고 먹이도 줄 수 있는 병아리와 기니피그, 토끼, 햄스터 등 30여 마리의 동물들과 황소개구리와 한삼덩쿨, 가시박 등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동물 5종과 식물들도 전시된다. 이밖에 관찰하며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병아리 부화과정과 누에고치 실뽑기 체험, 무당벌레 이야기 만들기 체험 등이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2012 경마문화축제’ 오늘 팡파르

KRA(한국마사회)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과천 서울경마공원에서 2012 경마문화축제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올해로 17회째를 맞는 경마문화축제는 말(馬)을 테마로 한 국내 최대 마문화(馬文化)축제로, 이번 축제는 다채로운 문화공원(Colorful Culture), 역동적인 문화공원(Dynamic Culture), 행복한 문화공원(Happy Culture) 등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돼 도심 속 마문화 허브로서 서울경마공원의 다양한 매력을 보여줄 예정이다. 이번 축제 중 눈길을 끄는 행사는 매일 4차례 진행되는 로데오 리그다. 원래 로데오 경기는 말 위에서 벌이기 때문에 위험하지만, 이번 축제의 로데오 리그는 실감나면서 안전한 첨단 로데오 시뮬레이터에서 벌이기 때문에 아이와 여성도 부담없이 참가할 수 있다. 또 가족공원 특설무대에서 펼쳐지는 도전! 경마 골든벨 행사는 경마와 말에 대한 상식 50문제를 풀어 우열을 가리는 퀴즈 프로그램으로 가장 참가자가 많을 것으로 기대되는 행사다. 행사는 고객 300명을 대상으로 서바이벌 형식으로 진행되며, 최종 우승자 1명에게는 1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연인과 함께 행복한 추억을 만들 수 있는 행사도 다양하게 마련됐다. 관람객이 함께 참여하는 해피 컬처 스테이지는 여성3인조 바이올린 첼로보컬 카린의 현란한 전자현악 공연과 여성5인조 섹시 걸그룹 큐빅의 섹시댄스, 전자바이올린 피리 해금 가야금 연주가 돋보이는 여성4인조 국악그룹 별의 퓨전국악 연주, 여성5인조 걸스힙합팀 스위티의 신명나는 힙합댄스가 진행된다. 또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는 알록달록 문화체험존과 자녀들과 가훈쓰기, 가족놀이, 나무꾼놀이, 추억속으로, 판줄타기 등을 통해 전통문화체험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LH ‘과천 보금자리’ 계획 대수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의 총 세대수를 당초 9천734세대에서 6천209세대로 축소, 최근 개발계획을 전면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LH와 과천시 등에 따르면 LH는 최근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유보지에 대한 개발계획을 제시하라는 환경부의 요구에 따라 유보지를 대폭 축소하는 대신, 세대수를 줄이는 개발계획안을 제시했다. LH는 개발계획안을 통해 주거용지를 29만661㎡에서 35만158㎡로, 상업용지를 3만6천622㎡에서 3만7천369㎡로, 도시기반시설을 49만9천759㎡에서 66만1천648㎡로 각각 확대했다. 반면 지식기반용지는 24만4천338㎡에서 22만5천707㎡로, 유보지는 28만1천800㎡에서 7만8천208㎡로 각각 축소했다. 이에 따라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의 임대주택은 3천807세대에서 2천200세대로 줄어들게 됐으며, 분양주택 역시 5천605세대에서 3천827세대로 축소될 예정이다. LH는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 135만여㎡ 중 30여만㎡를 유보지로 남겨두고 나머지 100만여㎡ 부지에 4천800세대 규모의 보금자리주택을 개발할 계획이었으나, 유보지 면적이 너무 넓어 도시기반시설 공사에 어려움이 있는데다 사업성 확보도 어렵자 유보지 개발을 주장해 왔다. 이후 환경부가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유보지 개발계획을 제시하라고 요구, 보금자리주택 세대수를 줄이고 유보지를 축소하는 방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LH는 대신 과천시에 지식기반용지(산업용지) 토지보상비 명목으로 전체 보상비 5천억원 중 절반인 2천500억원을 선투자해 줄 것을 요구했다. LH 관계자는 개발 계획에 따라 1차로 4천800세대를 개발하고, 나머지 1천409세대는 향후 주택수요를 감안해 개발할 계획이라며 지하철역사는 유동인구가 적어 설치가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과천시는 10일 과천시청 대강당에서 과천 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수정안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가질 계획이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 화훼전시회' 17일부터 과천중앙공원 일원서 열려

화훼 허브도시인 과천에서 화훼전시회가 열려 전국 화훼인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과천화훼협회에서 주관하는 이번 전시회는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간 과천중앙공원 일대에서 펼쳐지며, 과천 화훼농가와 국내외 수출업체, 종묘업체 등 40여개 업체가 참여한다. 행사에서는 전국 우수화훼품목 전시와 화훼작품 경연대회, 식물심기 체험학습, 시민대상 꽃꽂이 대회, 원예강좌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전시장 일대에는 꽃 광장과 꽃탑, 꽃길, 화훼 직거래 장터 등이 설치된다. 전국 우수 화훼품목 전시장에는 과천시 농사에서 생산되는 초화와 절화, 분재, 난, 야생화, 석부작 등이 전시되며, 테마 화훼 전시관에는 다양한 소품과 테마가 담긴 예술성 높은 작품들이 전시된다. 또 시민들의 볼거리와 참여 유도를 위해 화훼골든벨을 울려라, 식물모아 심기 경진대회, 풍선아트 나눠주기, 바디페이팅 등의 부대행사도 열린다. 이와 함께 통영시와 동해시, 예산군, 장성군 등 4개 자매결연 도시의 농특산 직거래 장터도 운영된다. 송행종 과천시 화훼협회장은 이번 화훼 전시회는 과천의 화훼발전을 한 단계 업그레드 시키기 위해 매년 추진하는 행사라며 특히 올해는 과천시 자랑하는 초화 8만여본이 중앙공원의 수목과 어우러져 멋진 장관을 연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보금자리주택 개발 ‘청신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오는 6월 과천 보금자리주택지구 지구계획을 국토부에 신청할 예정이어서 그동안 유보지 개발 문제 등으로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어 왔던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6일 과천시와 LH 등에 따르면 과천시와 LH, 국토부는 지난 4일 과천시청에서 열린 대책회의에서 그동안 합의점을 찾지 못했던 유보지 개발과 국도 4호선 우회도로 개설 등을 이달 안으로 마무리한 뒤 다음달 지구계획안을 국토부에 신청, 오는 9월에서 10월까지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에 대한 지구계획과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받아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논란이 된 과천보금자리주택지구 구간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시설 설치 문제는 과천지식정보타운 지정 후 도로사업이 결정됐기 때문에 소음발생 원인자인 도로사업자가 방음벽 설치를 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국토부에 재조정을 건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도 47호선 우회도로 개설사업은 계획대로 추진키로 했으며, 유보지 개발에 대해선 용적률 조정과 유보지 용도전환 등 세대수 확대를 위한 도시기본계획 변경 등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키로 합의했다. 한편 이날 LH는 과천지식정보타운 내 산업용지 분양과 관련, 과천시에 매각금액의 절반 수준인 약 3천억원을 인수대금으로 선투자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시는 앞으로 재정운용상태를 고려해 투자하겠다며 토지매각대금 5천억원의 10%인 500억원을 선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유보지 개발 문제 등으로 늦어지고 있는 과천 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을 위해 3개 기관이 만나 대책회의를 가졌다 며 그동안 제기된 문제를 이달 안으로 마무리하고, 다음달 지구계획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