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숙특수학교·갈매역세권유치원 교육부 심사 통과…2028년 3월 개교

왕숙특수학교(가칭)와 갈매역세권유치원(가칭)이 2028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설립이 확정됐다. 29일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에 따르면 왕숙특수학교와 갈매역세권유치원은 최근 열린 2025년 제2차 교육부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다. 특히 왕숙특수학교는 지난 2008년 3월 설립된 구리·남양주지역 내 유일한 특수학교인 ‘경은학교’ 이후 20년 만에 신설되는 공립 특수학교다. 중증장애를 가진 학부모들이 끊임없이 요청해온 숙원사업인 만큼 지역 내 중증장애학생들의 전문적이고 안정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함께 심사를 통과한 갈매역세권유치원은 구리갈매역세권 공공주택지구 6천320가구 내 유일한 공립 유치원으로 갈매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최초 입주시기에 맞춰 개교한다. 이외에도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은 지역 내 학교 10곳 건립을 오는 2028년까지 추진 중이다. 서은경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교육장은 “이번 왕숙특수학교 및 갈매역세권유치원이 투자심사 통과는 공공교육이 보다 공정하고 안정적으로 시작되길 바라는 지역의 목소리에 대한 응답”이라며 “앞으로도 교육의 공공성과 포용성을 넓혀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비 내리면 토사 쏟아질라” 남양주 주민들 가슴 철렁 [현장, 그곳&]

“비만 내리면 토사가 쏟아질까, 물이 넘칠까 두렵습니다.” 28일 오전 11시께 남양주 화도읍 창현2리 입구. 이곳에서 만난 주민 A씨는 인근 포천~화도고속도로(수도권제2외곽순환고속도로)를 쳐다보며 손사래를 쳤다. 동구 밖에 설치된 경사면이 언제 무너져 내릴지 몰라서다. 남양주 화도읍 창현2리 주민들이 지난해 2월 인근 포천~화도고속도로가 개통된 이래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토사와 빗물 등으로 붕괴 위험 및 침수 피해에 시달리고 있다. 70여가구 규모인 창현2리 주민들은 포천~화도고속도로와 화도JC가 개통되면서 비만 내리면 가슴을 쓸어 내리고 있다. 고속도로 경사면에서 돌과 토사 등이 마을로 쏟아져 내리고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고속도로 배수로에서 물이 넘쳐 가옥과 공장이 침수되기 때문이다. 주민 B씨는 “10년 동안 공장을 운영했지만 이렇게 침수된 적이 없었다”며 “고속도로 배수로가 기능하지 못해 공장이 침수됐고 제품과 설비 등 2천5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하소연할 곳이 없어 답답하다”고 울분을 토했다. 창현2리 가운데 고속도로 건설로 마을과 떨어지게 된 6가구의 경우는 걱정이 더 크다. 6가구의 유일한 진출입로인 터널이 지난해 장마철 고속도로 경사면에서 쏟아진 사람 주먹 크기의 돌들이 쌓여 통행이 불가능해지는 일이 발생해서다. 이곳에서 40년간 거주해 온 C씨는 “마을과 곧게 연결됐던 진출입로도 고속도로 건설로 경사가 심한 S자 도로로 변경돼 위험한데 비가 오면 유일한 진출입로까지 막힐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주민들이 불안해한다”며 “6가구 대부분 노인인데 응급상황까지 겹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걱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자 주민들은 해당 고속도로 시공사인 D사와 운영사인 포천~화도고속도로 주식회사 등에 하자 보수 등을 요청했지만 제대로 된 대답을 듣지 못했다고 호소하고 있다. 유달근 창현2리 이장은 “시공사는 응답하지 않고 운영사는 시공사가 해결해야 한다고 책임을 미루니 답답하다”며 “불안한 주민들이 결국 사비를 들여 배수로 공사를 하기도 했다. 고속도로 공사로 조성된 일부 경사면의 경우 고속도로보다 고지대에 있어 고속도로로 쏟아질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포천~화도고속도로 주식회사 관계자는 “화도JC의 불량 시공이 발생한 부분에 대해 시공사에 조처할 것을 요청했고 장마가 시작되기 전인 5월까지 공사를 완료하기로 확답을 받았다”며 “주민들과 시공사 간 합의 사안이 다르고 시공사에 합의하거나 요청한 사안에 대해서는 다 알 수 없는 부분이 있고 주민들의 민원을 기피하는 게 아니라 유지 보수와 공사 책임이 달라 그렇게 설명된 것 같다”고 해명했다. D사 관계자는 “우선적으로 이번 우천으로 쏟아진 토사는 정리했고,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지난해 집수정을 설치했다”며 “민원의 경우 회피하려는 게 아니라 포천~화도고속도로주식회사가 취합해 전달하는 구조여서 오해가 생긴듯하다. 향후 발생된 문제에 대해선 운영사 측과 논의해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