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 감시보다 빠른 민원처리 기록”

수원시, 사관(史官)제 전국 지자체 최초 도입민선5기 출범과 함께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최초로 수원시에서 시작된 사관(史官)제도.수원시청 7급 공무원인 정선씨(39)가 그 역할을 맡게 된 지도 벌써 6개월째다.사관이라는 역할은 감시보다는 행정 시스템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정씨는 짧은 기간이지만 사관 역할을 하면서, 단체장에 대한 감시보다는 민원인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는 행정을 구현하는 것이 사관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처음 사관 역할을 맡았을 때는 청렴에 포커스가 맞춰졌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빠른 민원처리와 시민에게 다가가는 행정서비스 구현 등에 대한 기록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시장 비서로 처음 기록을 담당하게 됐을 때 정씨는 기록을 놓치기 일쑤였다고 했다.일반행정직인 정씨가 기술직 직원들이 보고를 할 때 사용하는 전문 용어나 생소한 용어들을 잘못 받아쓴 경우도 있었고, 의미를 알지 못한 채 기술했다가 집에 가서야 단어를 찾아보고 내용을 알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이제 기록에 조금은 익숙해진 정씨는 최근 다양한 색 글씨로 자신의 의견을 남기기도 한다.처음엔 전문용어 몰라 기록 놓치기 일쑤6개월째 담당 익숙해져 의견도 남겨생소한 단어 등 모르던 분야 배워 기뻐회의도중 누군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내면 녹색 글씨로 빵 터졌다, 또 예산절감 계획이 나오면 절감 가능금액과 괜찮다 등의 표현을 넣는다.이 외에도 노란색은 참석자나 시간 등에 대한 것으로, 빨간색은 결제된 사안이나 논의된 것, 시장 지시 사안은 파란색으로 표현하고 있다.한번은 지인들과 함께 자리를 하다 어쩔 수 없이 막걸리를 조금 마시게 됐는데 다음날 업무를 하는데 정말 혼났었죠.평소 못마시는 술을 어쩔 수 없이 마시게 됐던 정씨는 다음날 회의에서 자리를 뜰 수 없었던 탓에 봉변(?)을 당할뻔해 그 뒤로 아예 술을 마시지 않게 된 에피소드를 소개하기도 했다.정씨는 가끔 시장님의 뜻을 모르고 보고를 엉뚱하게 하시는 분들이 있으면 나중에 전화로라도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이 생기지만 할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기도 하다며 6개월동안 기록 일을 담당하면서 모르던 분야에 대해 많이 배우게 된 것이 개인적으로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수원, 도로 19곳 연내 개설·확장

수원시는 올해 1번국도, 광교신도시 연결도로 등 19개 도로를 개설하거나 확장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시는 우선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기 위해 경기도,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건설 중인 삼성로(길이 3.12㎞, 너비 35m) 확장공사를올 연말까지 마치기로 했다.영통구 삼성 디지털단지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삼성로가 개통되면 삼성전자와 삼성SDI, 삼성전기 등 삼성 계열사가 입주한 영통구 일대 상습 정체현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또 수원 서부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고색동 유통상가 주변(길이 400m, 폭 15m), 오목천동 청구아파트~곳집말지구(길이 824m,너비 25m), 율전동 삼성아파트 뒤 도로(길이 680m, 너비 20~35m) 등 7개 도로를 개설하기로 했다.이와 함께 1번국도 창룡문사거리~연무중사거리(길이 510m, 너비 35m), 옛 1번국도(길이 970m, 너비 25m), 수원역 우회도로(760m, 너비 40m) 확장공사도 연내에 마무리하기로 했다.북부권 교통망은 광교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추진 중인 상현IC~하동(길이 2.5㎞, 너비 27m), 흥덕~하동(길이 2.1㎞, 너비 27m), 동수원~성복IC(.3.3㎞, 너비 19m) 등 6개 노선을 연내 개통할 예정이다.이 밖에 광교신도시 입주에 맞춰 광교~서울 주요 구간을 잇는 4개의 광역버스 노선을 신설하고 광교지구를 경유, 서울이나 성남, 용인 등지로 연결되는 15개 광역버스 노선을 인근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증차하기로 했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수원지법, 광교신도시 부지 연내 매입

광교신도시로 청사를 이전할 예정인 수원지법은 올해 부지매입 협상을 마무리하기로 했다.최병덕 수원지법원장은 18일 기자간담회에서 수원지법 광교신도시 이전을 위해 올해 사업시행자인 경기도시공사와 부지매입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부지매입이 완료되면 내년 중으로 청사 설계공모절차에 들어가 본격적인 이전 작업을 추진하게 된다고 말했다.수원지법 이전 예정부지는 광교신도시 신대저수지 인근 6만5천858㎡로 수원지검과 공동으로 토지를 매입한 뒤 각각 신청사를 지어 이전하게 된다.수원지법과 수원지검은 현 청사 부지 2만929㎡를 광교신도시 땅과 맞교환하고 나머지 추가 부분은 매입할 예정이다.법원과 검찰의 청사이전비용은 토지매입비와 건축비 등을 합쳐 각각 1천400억원선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앞서 대법원은 올해 수원지법 토지매입비용으로 20억원을 확보했으며 연차적으로 토지매입예산과 설계, 시설공사비 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수원지검도 법원과 같이 경기도시공사를 상대로 연내에 부지매입협상을 벌이는 등 청사건립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다.수원지검 관계자는 낡고 비좁은 현 청사에서 업무를 지속하는 것이 어렵다고 보고 이미 광교신도시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며 연내에 토지매입 등 각종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신여성’ 나혜석 생가 복원한다

수원시는 18일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이자 작가로 활동했던 수원출신 정월(晶月) 나혜석(羅惠錫1896-1948) 선생을 기리기 위해 생가를 복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시는 나혜석이 태어난 현재의 팔달구 신풍동 47 일대를 대상으로 생가터를 찾기 위해 탐문을 벌이고 있으며, 국가기록원에 1911년 당시의 지적도 공개를 요청했다.또 나혜석의 후손과도 접촉, 구체적인 생가 위치와 규모 등을 파악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시는 생가 위치가 확인되면 토지를 매입하고 나혜석 후손, 기념사업회, 미술가협회 등을 중심으로 협의체를 구성, 생가복원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시는 오는 2013년까지 45억원을 들여 540㎡ 규모의 생가와 기념관을 건립하기로 하고 올해 토지매입비 7억6천500만원을 확보했다.정월 나혜석은 1896년 수원군 수원면 신풍리에서 군수의 딸로 태어났으며, 서울 진명여고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東京)로 건너가 미술을 공부한 뒤 국내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가 됐던 인물이다.한편 수원시는 지난 2002년 8월 팔달구 인계동 중심상가 도로(440m)에 나혜석 동상과 분수대 등 조형물을 세워놓고, 이 거리를 나혜석 거리라고 명명, 해마다 나혜석 거리 예술제를 열고 있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