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따구 대공습… 남한강변 상가·주민들 ‘SOS’

여주군 남한강변에 깔따구와 동양하루살이가 대량 발생해 인근 상가와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21일 여주군보건소와 주민 등에 따르면 최근 낮기온이 고온으로 지속되면서 여주읍 상리와 홍문리, 하리, 오학리 등 남한강변에 동양하루살이와 깔따구떼가 발생, 인근 음식점이나 편의점 등의 영업에 지장을 초래해 일부 상가는 문을 닫는 등 피해를 입고 있다. 이들 해충은 낮에는 뜸하다가 저녁시간 때부터 출몰해 가로등 등 전등불 주위에 떼를 지어 몰려들고 있다. 남한강변에서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A씨(57)는 최근 날이 더워지자 동양하루살이와 깔따구가 떼로 나타나 창문조차 열지 못하고 있다면서 가로등이나 간판, 나무 밑에는 매일 아침마다 죽은 하루살이를 빗자루로 쓸어 담아야할 만큼 많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음식점 주인인 S씨(61)도 저녁 영업을 하려면 문을 열어놔야 하는데 하루살이 때문에 열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며 손님들도 하루살이 등이 워낙 많아 잘 찾아오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여주군보건소는 매일 두 차례씩 방역 차량을 동원, 방제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해충 발생지가 수도권 주민의 식수원인 남한강이어서 살충제 살포 등 특별한 방역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김상인 여주보건소 과장은 동양하루살이와 깔따구는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에서만 서식하는 해충으로 입이 퇴화해서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며 하지만 개체수가 워낙 많아 주민들이 생활불편을 호소하기 때문에 다각적인 방역대책을 시행 중이다고 말했다. 여주=류진동기자 jdyu@kyeonggi.com

이천~여주~충주간 철도 2018년 완공될 듯

경기 동부권역 주민들의 오랜 숙원인 이천~여주~충주 철도건설 사업이 오는 2018년 완공될 전망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최근 이천시 부발읍에서 충북 충주시를 연결하는 철도건설 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항목결정 내용을 공개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이천시 부발읍에서 여주군 가남면을 지나 충북 충주시를 연결하는 철도 사업으로 이천시와 여주군, 음성군, 충주시 등 중부내륙권과 수도권간 철도서비스 활성화를 통한 교통편의 제공과 균형있는 지역발전을 위해 추진하고 있다. 철도공단이 결정해 공개한 환경영향평가 항목은 대기와 수(水), 토지, 자연생태, 생활환경 등으로 사업의 특성, 위치, 주변지역 환경현황과 노반조성, 시설공사, 시설운영 단계별로 환경영향을 고려해 관련된 환경영향 항목을 세분화했다. 또한, 지역특성 파악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7개 항목을 일반항목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6개 항목은 평가항목에서 제외했다. 철도공단은 공사 및 운영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대기, 수(水), 토지, 자연생태,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상지역 일대의 지리, 지형적 특성, 환경영향 대상시설 분포 현황 등을 고려해 각 항목별로 환경영향평가 범위 및 대상지역을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이천~충주 철도건설 사업과 함께 성남~여주간 복선전철, 평택~원주간 복선전철, 김천~진주간 철도 건설 등 경부선과 연결한 철도 네트워크 및 연계 수송체계 확보를 통한 기간철도망 구축으로 중부내륙 철도 수혜권역 확대 등 지역개발 촉진이 기대된다. 한편, 이천~여주~충주 철도건설 사업은 총 연장거리 53.92㎞(이천 14.449㎞, 여주 3.736㎞, 음성 6.823㎞, 충주 28.912㎞)이며 설계속도는 200㎞/hr로 오는 2018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여주=류진동기자 jdyu@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