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비전2동 유흥노래홀연합회와 함께 사랑나누기 행사

평택시 비전2동 청소년지도위원회(위원장 : 이은경)는 지난 29일 년말연시를 맞이하여 비전2동 대회의실에서 청소년을 위한 따뜻한 사랑 나누기 행사를 가졌다.이 행사는 평택시 유흥노래홀연합회와 협조하여 지난 10월부터 노래홀에 놓아둔 사랑의 동전모으기 성금 모금통을 수거하여 모아진 후원금 200여만원으로 소년소녀가장 등 청소년 20명에게 겨울을 따뜻하게 보내면서 희망과 비전을 키울 수 있도록 고급이불 20채를 선물했다. 특히 이번행사에 (주)현중산업(대표 : 김상훈)는 쌀 50포를 선뜻 쾌척하여 청소년을 위한 사랑나누기 행사가 더욱 빛을 발하였다.올해로 5회째 이어온 청소년 사랑의 선물나누기 행사의 과거에는 크리스마스를 맞아 불규칙 청소년 수백명을 대상으로 핸드크림, 필통, 수면양말 등 여러가지를 선물하는 깜짝 이벤트 행사로 끝났지만 올해는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따뜻한 이불과 쌀을 후원 하였다.이은경 회장은 작은 선물을 통해 경쟁사회에 있는 이시대에 소외되기 쉬운 청소년들에게 우리사회가 뜨거운 관심과 사랑으로 미래를 기대하는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다고 전했다.평택=김덕현기자 dhkim@kyeonggi.com

평택시립도서관 ‘오디오북’ 대출 서비스 호응 높아

연말 연초 여행계획이 있다면, 책과 함께 떠나 보는 건 어떨까. 책 읽을 시간이 부족하다면, 운전 중에 듣는 책 오디오북도 있다. 온 가족이 함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동안 지루한 차 안이 생생한 극장으로 탈바꿈한다평택시립도서관(관장 최장호)은 도서대출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독서문화콘텐츠를 제공하여 시민들의 새로운 문화공간이자 쉼터로서 문화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평택시립도서관 디지털자료실에서는 각종 DVD와 귀로 듣는 책 오디오북 대출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1인당 3점 이내 2주 동안 대출받아 이용하거나 도서관 홈페이지에 접속해 원하는 오디오북을 바로듣기 할 수 있다. 오디오북은 종이책과 달리 스토리를 가진 다양한 장르의 내용을 그대로 읽어주거나 드라마, 인터뷰, 낭독, 강연, 토크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책 내용을 전달하고 있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책을 감상할 수 있는 신개념 도서이다.도서관 관계자는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다양한 휴대기기에 다운로드 받아 출퇴근 시간에 이동하면서도 이용할 수 있다며 특히 바쁜 직장인, 도서관을 찾기 힘든 장애인, 어린이들의 이용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평택=김덕현기자 dhkim@kyeonggi.com

평택시, 동절기 거리 노숙인 보호대책 추진

평택시가 기습한파로 인한 노숙인 동사 등 행려환자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동절기 노숙인 보호 대책을 마련했다.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한 노숙인들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키 위해 내년 2월까지 노숙인이 모이는 역사주변과 공원, 교각 밑 등에서서 유관기관과 함께 야간 순찰활동을 실시, 노숙인 실태조사를 벌인다고 14일 밝혔다.우선 시는 노숙인 및 행려자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향후 처리를 위해 아웃리치팀을 구성해 주기적인 거리상담 활동을 실시키로 했으며, 발견된 노숙인들은 동사 등의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설득 작업을 벌이기로 했다.이와 관련, 시는 거리 노숙인들에게 인근 시군의 노숙인 쉼터 시설 입소를 유도하고, 연고지 귀향이 가능한 노숙인에 대해서는 귀향여비 및 귀향에 따른 편의를 우선 제공해 가족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또한 자활의지가 있는 노숙인에 대해서는 일자리 알선 및 일을 하며 지낼 수 있는 쉼터 등 시설을 파악해 안내해주는 등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고, 동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및 계절성 질환 진료가 필요할 경우 시 보건소에서 무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또한 여성 노숙인의 경우 거리생활의 위험성과 문제를 인식시켜 인근지역 여성 노숙인 쉼터에 입소토록 유도하고, 시설입소를 기피할 경우 전담 상담요원을 지정해 지속적인 상담과 설득을 실시할 예정이다.시 관계자는 겨울철은 추위로 거리 노숙인들이 가정 견디기 힘든 계절인 만큼 이들이 좀 더 안전하고 따뜻하게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평택=김덕현기자 dh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