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밖으로 한강이 흐르는… ‘웰빙아파트’

최근 한강신도시의 건설사들이 내년 초부터 분양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면서 한강이 한눈에 들어오는 한강신도시 e편한세상이 주목받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이 탐낸 노른자위= e편한세상이 위치한 AC-11 블록은 입지적 매력으로 대형 건설회사들이 탐을 냈을 정도로 한강신도시 내에서도 노른자위로 꼽히는 곳이다.우선 한강신도시 내에서 한강이 제일 가깝고 직선거리 1㎞ 이내로 한강조망권이 빼어나다. 뿐만 아니라 단지 동쪽 한강변으로 60여만㎡ 규모의 생태공원이 조성되고 남쪽으로는 도시지원시설이 예정돼 있어 직주근접형 아파트로 손색이 없다는 평가다. 또 한강신도시와 올림픽대로를 연결하는 김포한강로의 인터체인지가 단지 가까이 개설된 예정이다.이 같은 최고의 입지적 조건을 갖춘 블록을 김포시도시개발공사가 사들여 공개경쟁을 거쳐 대림산업이 중심이 된 쌍용건설, 서희건설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녹지율 50% 이상 자연친화적아파트= 한강신도시 e편한세상은 기획 및 설계단계부터 특화해 명품 주거단지로 손색이 없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단지 바로 옆의 한강과 실녹지율 50% 이상의 자연친화적인 단지 구성에다 태양광, 지열시스템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한 친환경저에너지 아파트로 조성된다.수도권 최대 규모의 생태공원과 인근 운양산 및 모담산을 잇는 녹지축 등 최적의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주차공간을 100% 지하화하고 지상은 대지의 절반 이상을 조경공간으로 꾸며 입주민들이 여유롭고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주거단지로 설계했다.또 생태공원과 한강조망이 가능한 아쿠아존(Aqua Zone), 단지 내 대규모 중앙광장(도래마당)을 품은 버드존(Bird Zone), 운양산과 모담산의 녹지축을 연결한 그린존(Gree Zone) 등 3가지 존으로 설계했다.커뮤니티시설에는 헬스클럽과 GX룸, 샤워시설을 갖춘 휘트니스센터와 주민카페, 갤러리, 게스트하우스 등 다양한 부대시설이 마련된다. 단지 내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 생산된 전력을 단지 내 공용부분의 전기로 사용하고 풍력발전 설비를 놀이터에 설치할 예정이다.분양정보문의 1577-6643(www.daelim-apt.co.kr)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내년 도내 15개지구 준공… 25만가구 입주

내년 경기지역에 분당 신도시 3개 규모와 맞먹는 15개의 택지개발지구가 잇따라 준공, 단계별로 25만여세대가 입주할 전망이다.12일 경기도에 따르면 내년 3월 성남 도촌지구를 시작으로, 수원 광교화성 향남2고양 삼송양주 옥정 등 15개 택지개발지구가 잇따라 준공돼 25만6천114세대(인구수 71만9천452명)가 입주하게 된다.이들 택지지구 면적은 5천721만8천㎡로, 분당신도시 3개 규모에 해당하며 인구수도 안산시 규모만큼 늘어날 것으로 도는 내다보고 있다.택지지구별는 내년 3월 5천453세대 규모의 성남 도촌지구(80만1천㎡)가 처음으로 준공되며, 이어 용인 서천(117만1천㎥1만3천315세대), 평택 청북(201만5천㎡2만3천767세대), 시흥 능곡(96만2천㎡1만7천265세대), 남양주 진접(205만6천㎡3만5천631세대) 등 4개 택지지구도 6월 준공돼 주민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특히 내년 12월에는 경기도와 수원시, 용인시, 경기도시공사 등 4개 기관이 공동 추진 중인 수원 광교신도시(1천130만2천㎡)가 준공, 3만1천세대(7만7천500명)가 단계별로 입주하게 된다.이와 함께 평택 소사벌(1만5천356세대), 화성 태안3(3천794세대), 화성 향남2(1만6천269세대), 오산 세교(1만6천249세대), 고양 삼송(2만2천126세대), 남양주 별내(2만4천137세대), 파주 운정(4만6천54세대), 양주 고읍(8천693세대), 양주 옥정(3만6천544세대) 등 9개 지구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중개업소, 못 믿을 ‘부동산 호가’

부동산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일부 중개업소가 매도자에게 호가 상승을 부추기는 등 편법을 일삼고 있다.일부 고가 매물의 경우 중개업소에 따라 호가가 1억원 이상 차이가 벌어져 매입자는 반드시 국토해양부의 실거래가를 확인해야 한다.12일 도내 부동산 중개업소와 부동산 정보업체들에 따르면 중개업소가 비슷한 규모의 주택을 매매하면서 낮은 가격에 거래된 내용을 비밀에 부치는 등 시장을 왜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실제로 파주 교하신도시 A아파트의 경우 인근 중개사사무실에 부착한 109㎡(이하 공급면적) 가격이 미노출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교하신도시내 중개업소들이 전화상담시 제시한 A아파트 109㎡ 가격은 3억5천만원선이지만, 실제 거래는 3억1천만원선으로 기존 입주자들의 반발로 낮은 거래가격을 올리지 않고 있다.심지어 호가와 실거래가가 1억원이나 차이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장기적인 부동산 침체 속에서 최근 반짝 상승 분위기를 타면서 중개업소들이 매도자에게 매매가 상승을 종용하고 있기 때문이다.국토해양부에 신고된 광명시 소하동 B아파트 107㎡ 실거래가는 2억9천만~3억2천800만원선이다. 그러나 한 부동산 포털사이트에 등록된 같은 주택형 거래가는 3억9천만원으로 실제 거래 가격과 1억원의 차이가 난다.이 같은 상황은 전세거래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전세보증금과 수수료를 좀더 높게 받으려는 집주인과 중개업소가 결탁하면서 거래가보다 많게 호가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중개업소가 호가를 임의대로 조정하다보니 중개업소마다 가격이 달라 수요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한 부동산정보업체 관계자는 내년 주택 매매가격이 높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중개업소에서 호가를 높게 책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며 국토부 등이 제공하는 실거래가와 호가를 면밀히 비교해야 선의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3차 보금자리’ 납입최고액 2356만원<하남 감일>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 일반공급 당첨자의 청약저축 최고 납입액은 하남 감일지구 분납임대의 2천356만원, 최저 납입액은 인천 구월지구 분납임대의 3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9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달 사전예약을 받은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 하남 감일, 인천 구월지구,서울 항동 등 3곳에 대한 당첨자를 선정하고 10일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www.newplus.go.kr) 등을 통해 발표한다.일반공급 당첨자(2천197명) 가운데 청약저축 최고액 당첨자는 하남 감일지구 A4단지 B5단지 분납임대 74㎡형 신청자로 납입금액은 2천356만원으로 나타났다.청약저축 최고 납입액 보유자가 일반 분양 아파트가 아닌 분납임대에 신청한 것은 이례적인 일로, 일반분양과 달리 목돈 납입에 대한 부담이 없어 신청한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다.반대로 가장 낮은 금액(커트라인)으로 당첨된 사람은 인천 구월지구의 A1단지분납임대 59㎡형 신청자로 납입액은 30만원이었다.지구별 커트라인은 분양 및 분납임대를 통틀어 서울 항동이 600만원, 하남 감일은 100만원이었다.노부모 특별공급은 153명이 당첨된 가운데 최저 54만원, 최고 1천290만원선에 당첨권이 형성됐고 생애최초 특별공급(695명)의 평균 저축액은 764만~792만원으로 조사됐다.3자녀 특별공급(363명)은 당첨자들의 배점이 80~85점에 집중된 가운데 당해 시도 거주기간이 10년 이상인 3자녀, 2주택 가구의 당첨이 많았다고 국토부는 소개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건설사-입주민 ‘소통의 문’ 연다

건설사들이 사전설명회와 입주원스톱 서비스센터 등을 운영하면서 입주민과 상생의 시대를 열고 있다.또 단지내 커뮤티시설을 조성, 가족과 입주민들간의 소통에도 적극 관심을 쏟으면서 고객과 함께 만드는 명품 브랜드를 추구하고 있다.8일 건설사들에 따른면 그 동안 건설사들은 보안 등을 문제로 입주 예정자들의 출입을 엄격히 차단했으며, 건축공기가 4~5년인 재개발재건축에 한정해 시공설명회를 개최했다.그러나 최근 사업기간이 3년 미만인 경우에도 고객과의 원할한 소통을 위해 설명회를 개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실제로 신동아건설은 지난달 초 고양시 덕이동 하이파크시티 신동아파밀리에 공사 현장에 입주예정자 100여명을 초청, 공용시설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해 설명회를 개최했다.이날 건설사측은 내년 3월 입주를 앞두고 마무리 공사 이전에 아파트 팔로티와 엘리베이터, 세대 공용문 등에 대한 불만사항을 청취했다.또 벽산건설은 양평 벽산블루밍 단지내에 아파트 전월세는 물론 법률, 세무, 대출상담까지 도와주는 입주 원스톱 서비스센터를 개설했다. 서비스센터에서는 기존 주택의 처분까지 지원해 입주예정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이밖에 건설사들은 가족간, 이웃간 소통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아파트 내에 입주민공동시설(커뮤니티 시설)을 마련하고 있다.고양 일산자이 위시티의 입주민공동시설인 자이안센터의 경우 러닝머신, 2가지 종류의 바이크, 다양한 운동시설을 갖춘 피트니스센터와 GX룸, 요가룸, 체력측정실이 마련된다. 이와 함께 남양주시 진접 센트레빌시티는 커뮤니티센터에 100석짜리 공연장과 북갤러리 등을 갖춘 백화점 형태의 문화센터를 설치했으며, 용인 신동백 롯데캐슬 에코도 180석 규모의 대형 독서실과 영어도서관, 연회장이 들어선다. GS건설 관계자는 명품 브랜드는 건설사만의 노력으로 부족하다며 고객만족을 위해 입주예정자들이 사전에 문제점을 점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며 향후 입주민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유지하기 위해 커뮤니티시설 조성에도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수도권 미분양 15년만에 ‘최대’

수도권 미분양이 차츰 늘어 3만가구에 육박하면서 15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더욱이 미분양 물량 가운데 3분의1 가량이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인 데다 2007년말 분양가 상한제를 앞두고 밀어내기 한 고분양가의 대형 아파트가 70%에 달해 쉽게 소진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8일 국토부와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10월 말 현재 수도권 미분양 주택은 2만9천334가구로, 전월(2만9천201가구)보다 133가구(0.5%) 늘었다.인천이 4천127가구로 280가구(7.3%), 서울이 2천506가구로 337가구(15.5%) 증가했고, 경기는 2만2천701가구로 484가구(2.1%) 감소했다.10월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1995년 12월의 3만4천993가구 이래 15년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미분양 물량은 부동산 시세를 그대로 반영해 1998년과 2008년 경제위기 때 급증했고, 2002~2003년, 2006년 집값 상승기때 급감했다.특히 수도권 미분양 가운데 준공 시점까지도 팔리지 않아 건설업계에서는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수도권의 10월 미분양 물량 2만9천334가구 가운데 준공 후 미분양은 9천20가구(30.7%)나 됐다.경기도의 경우 2005년 1천228가구, 2006년 2천520가구, 2007년 1천340가구, 2008년 1천136가구, 지난해 2천246가구에서 올해 10월 7천389가구로 증가했다.이 같은 수도권 미분양 물량 증가에 대해 부동산 관계자는 지방 건설업체를 살린다는 취지로 지방 미분양 구입 때 각종 세제 혜택 등을 주면서 수도권이 제외된 것은 형평에 맞지 않다며 수도권 시장이 장기 침체 현상을 보이는 만큼 수도권에도 같은 정책을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지방엔 햇볕 드는데… 수도권 ‘꽁꽁’

겨울철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지방 분양시장과 달리 수도권 분양시장은 먹구름이 걷히지 않고 있다. 수도권 거래량과 집값 등은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분양시장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 분양시장의 고전은 미분양 주택 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아직 주택시장의 바닥론을 거론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7일 업계와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 4분기 동안 수도권 신규분양 19개 단지 중 3순위 내에서 전 주택형이 마감된 곳은 3곳에 불과했다. 청약자가 단 한 명도 오지 않은 제로청약 단지는 4곳으로 순위 내 마감 단지보다 많았다. 수도권의 부진은 지방 실적을 대비하면 더욱 초라하게 느껴진다. 같은 기간 지방에서는 7개 단지가 3순위 마감이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이 중 1순위 마감 단지는 절반 이상인 4개로 집계됐다. 최근 청약 열풍지로 부상하고 있는 부산 외에도 광주와 제주의 뒷받침이 있었던 결과다. 이달 실적도 비슷한 흐름을 기록하고 있다. 저렴한 분양가 등의 다양한 전략으로 소비자 잡기에 나선 역촌 센트레빌과 고척 월드메르디앙 등 수도권 4개 단지는 모두 미달사태를 면치 못했다. 반면 지방에서는 전주 하가지구 진흥더루벤스의 5개 주택형 중 4개가 2순위 내에서 마감되며 지방 청약 열풍을 이어 나갔다. 이처럼 수도권 분양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수요와 공급 원칙이 지켜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부산의 경우, 지방경기 침체가 본격화된 지난 2007년 이후부터 올 상반기까지 신규아파트 공급이 거의 없었다. 3년여 간의 시간 동안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면서 최근 공급물량이 불티나게 잘 팔리는 것이다. 광주와 제주 등지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수도권에서는 매년 꾸준히 신규아파트가 분양됐다. 금융위기와 부동산 경기침체 등이 공급량을 축소시켰지만 신규공급은 꾸준히 이어졌다. 공급 누적에 피로감을 느낀 수요자들이 더 이상 신규아파트 분양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시장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세하면서 수요자들의 보수적인 태도가 더욱 깊어졌다는 분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한동안 수도권과 지방 분양시장이 지금과 비슷한 행보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 관계자는 수도권 수요자들은 지방 수요자와 다르게 여전히 시장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비슷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5천만원 종잣돈으로 부동산 경매하기

5천만원 종잣돈으로 무엇을 투자할 수 있을까.경매시장은 소액 투자가 가능한 부동산 시장이다. 5천만원이면 작은 돈은 아니다. 도시서민에게는 전세금 또는 전 재산이 될 수도 있다.일반매물을 찾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부동산경매에서는 최소한의 자금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금액이다.만만한 금액으로 투자하려다 보니 기획부동산의 표적이 되기도 하고, 해외펀드에 넣었다가 반토막이 나는 경우도 종종 보게된다.경매물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잘 살펴보면 소위 말하는 알짜 물건을 찾아낼 수가 있다.재개발지역의 다세대나 수도권지역의 소규모의 토지도 좋은 투자처이다. 실제로 3년 전쯤 광교신도시의 땅을 보상받아 대토로 사두었던 화성시의 봉담 땅이 도곡동지구로 지정되면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돼 4배 이상 오른 경우도 있다. 홍희정 수원법률경매정보㈜ 대표 자료제공: 수원법률경매정보㈜, 문의(031) 212-3007성남 분당 빌라 3층 전용면적 184㎡ 실입주금 2억 ▲소재지: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54 현대빌라 1동 3/4층 ▲감정가: 13억원 ▲최저가: 6억6천500만원(51%) ▲대지권: 213.506㎡(65평) ▲전용면적: 184.35㎡(56평) ▲입찰일: 12월13일 ▲이용상태: 방3실, 거실, 주방, 식당, 보조주방, 욕실겸화장실2, 드레스룸, 세탁실, 다용도실 다락 : 방 2실, 서재/ 대진고등학교 서측 인근에 위치/ 인근에 관공서, 학교, 상가, 공원 등 제반편의시설 등이 소재/ 북동측, 아스팔트 포장도로와 접함/ 실입주금 2억. 화성 쌍학리 임야 자연녹지지역 접근성 무난한 편 ▲소재지: 화성시 비봉면 쌍학리 ▲감정가: 1억9천500만원 ▲최저가: 1억원(51%) ▲토지면적: 1만2천992㎡(3천900평) ▲평당가: 평당 2만5천원 ▲입찰일: 12월17일 ▲토지이용계획: 자연녹지지역 ▲이용상태: 상동학동마을 남동측 인근에 위치/ 남서측 주변은 일부 취락이 형성/ 북서측 약 2.5km 지점에 313번 지방도로 및 비봉I.C, 쌍학교차로 등이 위치, 접근성은 무난/ 대체로 남서향 급경사지의 부정형/ 노폭 약 3~4m 정도의 포장도로가 개설. 감정가 대비 51% 물건임. 서울 등촌동 신축 2년된 아파트 9호선 가양역 인근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 63-12 어위쉬예다인 14/14층 ▲감정가: 3억6천500만원 ▲최저가: 2억3천360만원(64%) ▲대지권: 21.38㎡(6.5평) ▲전용면적: 81.89㎡(25평) ▲입찰일: 12월14일 ▲평형: 32평형 ▲이용상태: 방3, 주방1, 거실1, 욕실2, 다용도실1/ 마포고등학교 북서측 인근에 위치/ 주위는 아파트 및 상업시설 등이 혼재한 지역/ 인근에 버스정류장이 위치, 남동측 인근에 지하철 9호선 가양역이 위치, 교통상황은 비교적 양호/ 북동측, 약 30m도로,남동측, 약 15m도로에 각각 접함/ 2년 된 신축 건물로 남향임. 제주 개발가능한 땅 4천723㎡ 최저가 1억1천만원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감정가: 1억6천원 ▲최저가: 1억1천만원(70%) ▲토지면적: 4천723㎡ (1천430평) ▲평당가: 평당 7만8천원 ▲입찰일: 12월13일 ▲토지이용계획: 계획관리지역 ▲이용상태: 한동로터리 북서측 근거리에 위치/ 주위는 일반경작지 등이 혼재/ 토지까지 차량진출입 가능, 남측 인근에 일주도로 소재, 교통사정 보통/ 인접도로 대비 등고 평탄한 부정형 지대 남 서측 폭 약 16m 아스콘포장도로에 접함/ 개발 가능한 토지, 소액투자가능.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