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매조건부 매입 영향… 수도권 미분양 물량 감소세

수도권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지난해 8월 이후 첫 감소세를 나타내는 등 미분양 아파트 소진에 청신호가 켜졌다.정부가 올해부터 환매조건부 미분양 매입 대상을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까지 확대하기로 함에 따라 수도권 미분양 감소세는 더욱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1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을 조사한 결과 9만4천539가구로 전달 대비 4.7%(9만9천33가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수도권 지역에서의 미분양은 지난해 11월 2만9천189가구로 4개월 만에 감소했다.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8월 2만8천152가구를 보인 뒤 이후 계속 증가해 10월에는 2만9천334가구로 12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낸 바 있다.경기 지역은 전달 대비(2만2천701가구) 454가구 줄어든 2만2천247가구로 집계됐다. 가파른 미분양 증가세를 기록하던 인천 지역도 전달 4천127가구에서 11월에는 4천100가구로 소폭 줄었다.미분양 해소가 돋보이는 지역은 평택 용인 파주 일대다. 평택시는 지난해 초 미분양이 1천278가구에 달했지만 작년 10월 890가구로 감소한 데 이어 11월에도 816가구로 줄었다. 용이동에서 대우건설과 한진중공업이 분양하는 총 931가구에서 111가구 남아 있던 미분양 물량이 11월 들어 65가구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용인시는 작년 10월 6천161가구까지 증가했던 미분양 물량이 11월 들어선 6천85가구로 줄었다. 파주시의 경우 작년 10월 미분양 물량이 1천442가구였지만 11월 들어 1천411가구로 줄었다. 교하신도시 한라비발디가 총 978가구 중 181가구였던 미분양 물량을 156가구로 줄였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원자재값 급등… 건설사들 “두렵다”

경기도내 건설업체들이 연초부터 들썩이는 건설 원자재 가격 때문에 우울한 새해를 맞고 있다.건설경기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 원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재값 인상은 가뜩이나 어려운 건설업체에 부담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10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연초부터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치솟으면서 건설업계를 압박하고 있다. 기초재, 마감재 등 자재가격이 대폭 오르면서 건설공사 원가부담이 크게 늘어났다.올들어 철근, H형강 등 철강재가격이 6.5% 인상됐다.공사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재는 철근으로 원자재의 10% 정도를 차지해 도내 건설사들을 옥죄고 있다.고장력 10㎜ 철근을 기준으로 지난해 말 가격은 t당 76만원이었으나 최근 제강사들은 5만원 인상한 가격을 건설사에 통보하고 있다.건설업계에는 제강사들이 조만간 3만~4만원을 추가인상할 계획이라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추가인상이 이뤄질 경우 철근 가격은 최대 12% 정도 오르는 셈이다. 이달 말 제강사와 건설사가 협의를 거쳐야 최종가격이 결정될 예정이지만 최근 철근 원재료 가격의 고공행진으로 인해 최종가격도 인상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마감재가격 역시 급등해 토탈가구 형식으로 주방과 거실, 침실에 한꺼번에 들어오는 가구제품의 경우 지난해 초 대비 15%는 올랐다고 건설업계는 분석했다.최근 위생도기 제품 가운데 인기를 끌고 있는 수전금구도 원재료인 황동(구리와 아연을 혼합한 비철금속)의 국제가격 급등으로 대폭 올랐다.문제는 국제적인 원재료가격 상승세가 지속돼 자재가격도 계속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철강재만 보더라도 원재료인 철광석과 유연탄은 최근 주산지인 호주의 폭우로 가격급등이 2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건설사들은 이처럼 건설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으나 국토해양부를 통해 표준건축비가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무턱대고 자재가격 인상분을 수용할 수도 없어 답답해하고 있다.도내 A건설사 관계자는 자재가격이 1%만 올라도 건설사에는 부담이 엄청나게 늘어난다라며 건설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자재값 상승분을 반영해 공사비를 무작정 증액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B 주택건설사 관계자는 문제는 새로 분양할 주택에서 인상분을 수용해야 하는 데 있다며 마감재별 경쟁입찰을 실시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인상분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토로했다.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내달부터 전세대란 우려 대학가 고시원 구하기도 어려워

연초부터 수도권 주택시장의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아 본격적인 이사철이 시작되는 내달부터 전세대란이 우려되고 있다.9일 부동산114 조사 등에 따르면 새해 첫주인 7일 기준 전셋값 변동률은 서울이 0.06% 오른 데 비해 분당, 일산 등 신도시와 수도권은 각각 0.11%, 0.09%로 상승폭이 더 컸다.전세금을 올려줄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이미 오른 서울을 피해 외곽으로 밀려나는 엑서더스 현상 때문이다.실제 의왕시는 새해 들어 한주간 0.36% 올랐고, 군포 0.3%, 용인 0.29%, 산본 0.21%, 광명 0.2% 오르며 전세금 상승 상위 5위권을 수도권이 모두 휩쓸었다.의왕시 포일 자이 112㎡형은 지난해 11월 2억7천만~2억8천만원이던 전셋값이 현재 3억원으로 2천만~3천만원 상승했으며, 용인 죽전동 포스홈타운 128㎡형도 1억8천만~1억9천만원에서 현재 2억4천만~2억5천만원으로 5천만~6천만원 올랐다.아파트 전셋값 강세는 오피스텔, 빌라, 연립, 다가구, 다세대 전셋값 상승세로 이어져 서민들이 전세 구하기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매매시장에 대한 불안감으로 여전히 전세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이 많아서다.이처럼 전셋값 상승 여파는 대학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신학기를 앞둔 대학가 주변 하숙비와 원룸 등의 임대료도 오름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보증금 1천만~1천500만원(월15만~20만원) 선에서 거래된 성균관대아주대 일대 원룸(40여㎡)은 현재 보증금이 1천500만~2천만원으로 수백만원이 올랐다. 또 3천만~4천만원 수준이던 40여㎡ 원룸 전세가격 역시 올들어 5천만원을 웃돌고 있으며, 한달 평균 35만~40만원 수준이던 하숙비도 10% 이상 상승했다. 이에 대학생 상당수가 고시원 등으로 거쳐를 옮기면서 대학가 일대 고시원마다 빈방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성균관대에 재학중인 S씨(243학년)는 집주인이 오는 3월부터 보증금 500만원을 올려달라고 요구해 후배와 함께 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선호박민수기자 lshgo@ekgib.com

보금자리에 ‘사회적기업’ 들어선다

앞으로 조성되는 보금자리주택지구에 의료, 보육교육, 택배 등 입주민에게 복지 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이 들어선다.국토해양부는 9일 보금자리주택지구 내 통합 부대복리 시설이나 사회복지관에 사회적 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국토부는 또 이를 위해 3월 중에 설치 기준을 마련 하고 업무처리 지침 개정 절차를 거쳐 시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국토부는 이번 지침 개정을 통해 부대복리 시설의 용도에 사회적 기업 운영을 추가하는 한편 소규모 단지를 묶은 통합 부대복리 시설이나 대규모 국민임대주택 단지에 들어갈 사회적 기업의 입주 규모 등을 명시할 예정이다.또 지구 계획 단계부터 입주 기업의 유형 및 입주 공간을 반영키로 했다.하남감북 등 4차 지구와 조만간 발표할 5차 지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입주 공간으로 통합 부대복리 시설을 쓸 수 있도록 지구계획에 반영하고, 이미 사업승인이 이뤄진 1~3차 지구에선 사회복지관 시설 일부를 활용토록 할 방침이다.이들 지구에 적합한 사회적 기업 유형으로는 ▲서민층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생활협동조합 같은 지역공동체 형성 모델 ▲맞벌이 부부 등 입주민을 위한 보육교육서비스 같은 수요자 지원 모델 ▲단지 내 화물 수취배분 및 택배 사업 같은 일자리 창출 모델 등이 검토되고 있다.국토부는 최근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열어 타당성을 검토한 데 이어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해 효과적인 운영지원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이런 가운데 LH(한국토지주택공사)도 국민임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하는 LH 마을형 사회적 기업을 입주시키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한편 마을형 사회적 기업은 임대단지 입주민과 인근 주민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해 제공하고 그에 따른 일자리를 만듦으로써 지역경제 선순환 및 활성화를 도모하는동시에 수익금을 지역사회 공익사업에 재투자하는 기업이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경기지역 대규모 물류단지 중단·포기 ‘속출’

경기지역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물류단지들이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단과 주민 반대 등에 부딪쳐 중단되거나 포기된 것으로 나타났다.6일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는 안성, 광주 등 9곳에서 531만5천㎡ 규모의 물류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다.이에 따라 안성 원곡(경기도시공사), 이천 패션(한국패션유통물류), 광주 초월(미래로지텍), 김포 고촌(한국수자원공사), 화성 동탄(마르스PFV) 등 5곳은 공사에 들어갔거나 착공 준비 중이다.하지만 현재 사업추진예정인 부천 오정, 여주 출판, 남양주 등 3곳이 부동산 경기침체와 주민반대에 부딪쳐 사업이 중단되거나 포기된 상태다.부천시 오정구에 추진 중인 물류단지(54만3천㎡)의 경우 지난 2008년 9월 실시계획까지 받았으나 LH의 재정사정 악화로 추진이 중단됐다.오정 물류단지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3천23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추진될 예정이었다.도는 현재 단지 조성계획이 보류된 상태지만 LH가 사업재개를 선언하면 중지된 용역을 재개하고, 곧바로 보상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특히 (사)한국출판경영자협회가 여주읍 가남면 일원(49만1천㎡)에 추진해온 여주 출판 물류단지 조성사업은 최근 취소됐다.사업부지 일부(30%)가 백두대간에 포함돼 사업성이 떨어져 사업시행자가 사업권을 반납했기 때문이다.사정이 이러하자 한국출판경영자협회는 용인지역을 후보지로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와 함께 남양주시 화도읍 일원에 검토해 온 물류단지도 최근 주민반대에 부딪치면서 LH가 포기를 선언했다.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일부 물류단지가 금융위기 여파에 따른 PF 동결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하지만 LH 등이 사업재개에 나서면 정상 추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도내 전셋값 3.3㎡당 400만원 돌파

최근 전셋값 강세로 신도시를 제외한 경기지역 아파트의 전셋값이 3.3㎡당 400만원을 돌파했다.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경기지역(신도시 제외)의 평균 전셋값은 3.3㎡당 410만원으로 지난해 1월 초 377만원 대비 24만원 상승했다.도내에서 전셋값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과천시로 3.3㎡당 931만원이다. 다음으로는 광명(560만원), 군포(553만원), 의왕(534만원), 안양(523만원), 구리(517만원), 하남(507만원), 부천(480만원), 성남(475만원) 등의 순이다.이처럼 지난 한해동안 전셋값이 강세를 보인 것은 집값 하락 불안감으로 매수수요가 전세수요로 돌아섰고, 값싼 보금자리주택 공급으로 무주택 자격을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전세로 몰렸기 까닭이다.특히 보금자리지구가 들어설 광명과 하남시는 지난 1년간 3.3㎡당 전셋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광명시 철산동과 하안동 일대는 대규모 재건축 단지의 신규 입주와 맞물리면서 지난해 초 3.3㎡당 483만원에서 현재 560만원으로 15.9%(77만원)가 올랐고, 하남은 지난해 초 437만원에서 현재 507만원으로 16.2%(71만원) 상승했다.개별 단지로는 과천시 중앙동 래미안에코팰리스 82㎡가 3.3㎡당 1천260만원 선으로 최고가를 기록했다.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김포 한강신도시 분양 ‘기지개’

김포한강신도시 내 건설업체들이 분양 기지개를 펴고 있다.5일 김포시와 LH 김포직할사업단, 건설사 등에 따르면 지난해 보금자리주택과 부동산 불경기로 인해 분양을 포기했던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건설업체들이 오는 3~4월 중 분양에 나설 계획이다.시는 한강신도시의 주택경기 활성화를 위해 시도시개발공사와 지난해 시로부터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LIG건설, 현대산업개발, 한라건설, 모아건설 등 5개 기관 및 건설사와 동시분양을 추진하고 있다.또 대우건설, 현대산업개발, 우림건설, 반도건설, 중흥건설 등 5~6개 건설사들이 시의 건축심의를 준비하고 있거나 최근 건축심의를 마치고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에 착수하는 등 올 상반기 중 최소한 10여개 업체가 분양에 나설 전망이다.한강신도시 내 건설사들은 이들 업체들의 상반기 분양실적에 따라 올 하반기 한강신도시의 잔여 건설사의 분양에 막대한 영향을 줄 전망이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그러나 오는 12일부터 한강신도시 내 래미안(579가구)과 e편한세상(955가구) 등 중대형 평수를 중심으로 4천600여가구의 전매제한이 해제돼 분양시장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건설사 관계자는 올 상반기는 전반적으로 주택시장이 호조를 보일 것이라는 부동산 전문가들의 분석과 회사 방침에 따라 3~4월께 분양에 나설 계획이라며 하지만 올해부터 전매제한 1년이 지난 중대형 평수의 상당수 아파트 분양권이 쏟아질 것으로 보여 분양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건설사들 “재개발 등 수주戰 뭉쳐야 산다”

치열한 재개발재건축 수주전을 벌여왔던 건설사들이 도내 재개발재건축 사업성이 불투명해지면서 전략적으로 뭉치고 있다. 그동안 건설사들은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경우 단독 수주를 위해 제살 깎아먹기식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여 왔다. 5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이후 경기지역에서 발주되는 대규모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건설사들이 단독으로 공사를 수주하기 보다는 2~3개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이는 조합 운영비 등 비용 부담을 줄이고 향후 분양시장 침체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전략적 제휴에는 대형 건설사들끼리 컨소시엄을 구성해 다른 건설사들의 진입을 차단시켜 안정적으로 시공권을 확보하는 전략과 대형사의 브랜드와 중견사의 저렴한 공사비가 결합된 상생 수주전략으로 양분되고 있다.지난해 12월 부천지역에서 시공사를 선정한 원미7B구역과 소사본4B구역 재개발 사업의 경우 원미7B구역 재개발 수주전에는 GS롯데건설 컨소시엄이, 소사본4B구역 재개발 수주전에는 대우삼성건설 컨소시엄이 참여했다.또 대의원회의가 지연돼 작년에서 올해로 시공사 선정총회가 연기된 심곡3B구역 재개발 사업의 경우도 삼성건설과 대림산업이 손을 잡고 입찰에 참여해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시공사 선정총회는 오는 16일 열릴 예정이다.대형건설사와 중견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한 경우는 부천 소사본5B구역과 수원 권선113-6구역 재개발 사업이다.소사본5B구역 재개발 시공사 입찰에는 GSSK코오롱건설 컨소시엄이 참여했으며, 권선113-6구역 재개발 시공사 입찰에는 삼성SK코오롱건설 컨소시엄이 뛰어들었다.이들 건설사가 시공사로 선정될 경우 SK건설과 코오롱건설이 이달에만 2천억원이 넘는 수주실적을 달성하게 된다.재개발 관련업계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대규모 정비사업 물량이 쏟아지고 있지만 향후 분양시장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건설사들이 위험분산을 위해 전략적 제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