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市 계약전 이미 녹지점용 허가

속보평택시가 주민공청회도 거치지 않고 동우STI에 대해 포승공단내 공원과 녹지 등에 고압선 송전탑을 허가해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본보 8일자 16면 보도) 동우STI가 한전과 전력공급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이미 시가 이 회사 계열사에 대해 공원과 녹지 등의 점용을 허가해준 것으로 밝혀져 말썽을 빚고 있다. 11일 평택시와 수원전력관리처(이하 전력처) 등에 따르면 지난 4월8일 동우STI가 전력수용을 신청했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17개월 후에나 전력공급이 가능하다고 통보, 5월27일 이 회사가 인허가 및 공사비 전액을 책임진다는 조건으로 지난 8월5일 이 회사와 전력공급협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시는 동우STI가 전력처와 협약을 체결하기 전인 지난 5월22일 이 회사 계열사인 동우화인캠에 이미 공원과 녹지 점용을 허가해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시는 이미 동우화인캠에 허가해줬던 공원 및 녹지 점용허가를 지난 7월10일 취하했으나 13일 뒤인 지난 7월23일 동우STI로부터 공원 및 녹지 점용허가를 신청받은뒤 7일 후인 7월30일 허가해준 것으로 밝혀졌다. 주민 장모씨(57·평택시 포승면)는 “전력공급계약도 체결되지 않은 건 고전압 철탑건설의 주체가 정해지지 않은 것과 같은데 평택시가 동우STI와 동우화인캠 등에 고압선 송전탑 건설을 위해 공원 및 녹지 등의 점용을 허가한 근거를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평택시 관계자는 “동우STI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철탑을 건설한다는 내용을 담은 계획서를 제출, 법적으로 검토한 뒤 공원 및 녹지 등의 점용을 허가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kgib.co.kr

파주/관광객은 느는데...’市관리 허술...정비시급’

최근 경의선 복원공사 재개로 파주를 찾는 관광객들이 부쩍 늘고 있으나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대형 관광안내표지판 등이 녹이 슬은 채 방치되고 있는데다 일부 문화재와 유적지 등에는 쓰레기가 버려진 채 방치되고 있고 잡초도 무성해 빈축을 사고 있다. 11일 주민들에 따르면 파주에는 황희 선생과 윤관 장군, 율곡 선생 등의 묘와 임진각, 통일전망대, 제3땅굴 등 각종 안보관광시설들과 함께 최근 경의선 복원공사 재개로 관광객들이 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편의시설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시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금촌역과 조리읍 장곡리 농협 하나로마트 등에 높이 4∼5m 크기의 대형 관광안내표지판을 설치했지만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심하게 녹이 슬은 채 방치되고 있다. 탄현면 성동리 신라고분과 교하면 당하리, 교하면 다율리, 월롱면 덕은리 등지의 지석묘군 등의 문화재들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인근에 잡초가 무성한데다 쓰레기도 버려져 쓰레기 하치장을 방불케 하고 있다. 주민 김모씨(47·파주시 탄현면 법흥리)는 “관광객들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편의시설과 문화재, 유적지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는 건 파주시의 무성의 탓”이라며 “수익사업을 위한 관광지 개발에 주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보다 기존의 문화재와 유적지 등을 제대로 관리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파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인력이 부족해 관광객을 위한 편의시설과 관광객이 비교적 덜 찾는 문화재, 유적지 등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

부천/부천 오정.삼정동에 대규모 물류유통단지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과 삼정동 일대에 오는 2006년말까지 10만9천여평 규모의 대규모 유통·물류단지가 들어선다. 11일 시에 따르면 오정구 오정동 442의10 일대 6만3천여평과 오정구 삼정동 9 일대 4만6천여평 등 모두 10만9천여평에 물류창고와 집배송단지, 도소매단지, 지원시설 등을 갖춘 가칭 ‘부천유통단지’를 오는 2006년말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 4월 다른 지자체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 및 개발 등에 따른 기초자료를 수집한데 이어 5월 관내 중소기업 유통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0% 이상이 유통단지 조성을 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지난 8월에는 사업비 3천만원을 들여 유통단지조성 타당성 검토 및 수요조사 용역을 발주했다. 시는 내년 1월께 용역 결과를 토대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인 유통단지 예정부지를 도시계획에 반영시키는 한편 사업시행자를 선정, 기본계획 수립에 이어 경기도에 유통단지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유통단지 조성의 관건은 그린벨트 해제인만큼 오는 2020년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안에 반영, 연말쯤이면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강영백기자 kyb@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