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보금자리 주택의 분양가가 30% 이상 부풀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7일 경기권역 보금자리주택 분양원가는 3.3㎡당 600만원 수준이나 실제 분양가는 평균 880만원으로 3.3㎡당 280만원의 차이가 발생, 약 30%가 거품이라고 주장했다.경실련은 분양면적 82.5㎡ 기준 2억2천만원으로 책정된 분양가는 경실련 추정 분양가 1억5천만원에 비해 약 7천만원이 높다며 1~3차에 이르는 보금자리 약 17만가구 중 경기권역 15만가구에서 10조5천억원이 부풀려졌다고 추정했다.이어 주변 시세의 80~90%로 책정된 높은 분양가 때문에 2차 보금자리지구 중 경기권 4개 지역의 청약이 미달된 것이라고 지적한뒤 포준건축비만 적용해도 당장 분양가의 20%인 160만원 정도를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또 서민을 위한 주택정책이라는 취지가 무색하게 근거도 없는 분양가 책정은 반값아파트라는 당초 취지에 어긋난다며 분양원가 책정기준과 원가현황을 전면 공개해 수도권 아파트값 거품을 제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LH(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장 조성필)는 27일 군포 부곡당동2지구의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해 권유마케팅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권유마케팅은 군포 부곡지구 등의 기존 계약자가 미분양 가구를 타인에게 권유한 후 신규 계약이 이뤄질 경우 가구당 150만원(세금공제 후 117만원)의 분양유치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군포지역에서 영업 중인 공인중개사가 분양 알선하고 계약을 성사시켰을 때도 분양유치금을 받게 된다. 현재 잔여가구 물량은 군포 부곡지구의 경우 전용면적 119㎡ 18가구, 군포 당동지구는 100~135㎡ 101가구로 총 119가구가 분양유치금 지급대상이다. 문의:(031)250-6060/이형복기자 bok@ekgib.com
집이 팔려야 적정 가격을 알려주죠분당의 한 공인중개사의 푸념이다. 주택거래가 실종되면서 최근 시세를 묻는 매도자나 매수자에게 적정 거래가격 등의 정보제공이 힘들어지고 있다. 특히 5개 신도시의 일부 단지는 몇 개월 동안 아예 거래가 단절, 상당수 부동산중개업소들이 개점휴업에 들어간 지 오래다.26일 국토해양부와 신도시내 부동산 중개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일대 아파트 거래가 급감하면서 지난달 단 한건의 매매도 이뤄지지 않는 단지들이 속출했다.국토부가 지난 4월 한달 동안 5개 신도시의 아파트실거래를 조사한 결과 단 107건에 불과했다. 이들 신도시 아파트 단지가 390여개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4개 단지당 한건 꼴로 거래가 이뤄진 셈이다.게다가 4월 거래분 107건 중 87건이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로, 중대형 아파트의 매매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거래가 사실상 사라지면서 대부분 중개업소들이 단순히 매도호가에 의존해 시세를 추정하고 있으며, 일선 시장에서는 정부의 집값 통계에 대한 불신도 높아지고 있다.마땅한 거래 비교대상이 부족하자 정부가 시세 판단의 기본 통계로 삼고 있는 국민은행 시세와 실거래가격 사이 격차도 점점 커지고 있다.실제 분당 구미동 A아파트 105㎡형의 경우 지난주 국민은행 시세는 최고 5억6천500만원에 형성돼 있지만 이 아파트는 이미 4월 말 실거래가가 4억7천500만원까지 떨어졌다. 이는 한 달 가까운 시차와 함께 집값 하락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국민은행 시세와 실거래가 사이에 최고 1억원 가량 격차를 보인 것이다.분당 구미동의 한 부동산공인중개사는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문의는 간간이 오지만 대형의 경우는 문의조차 없다며 거래가 뚝 끊겨 정부가 제시하는 실거래가도 현 시세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국토해양부는 26일 수도권 2차 보금자리주택지구 6곳의 일반공급분에 대한 사전예약을 마감한 결과, 경기권 3곳에서 1천333가구가 미달했다고 밝혔다.미달 물량은 남양주 진건 559가구, 부천 옥길 46가구, 시흥 은계 728가구이다.나머지 3곳 가운데 서울 내곡지구는 사전예약 접수 첫날인 18일 281가구 배정에 2천739명이 신청해 9.8대1, 서울 세곡2지구는 259가구 배정에 3천211명이 신청해 12.4대1의 높은 경쟁률로 접수가 마감됐다.또 구리 갈매는 969가구 배정에 마지막 날까지 1천645가구가 신청해 1.7대1의 경쟁률로 접수 마감 요건을 채웠다.남은 1천333가구는 2~3지망 지원자에게 공급되고 나머지는 본청약 때 해당 공급구분별 물량에 포함돼 공급된다.국토부는 2차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이 저조한 이유로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해 주택청약자가 대기 수요자로 전환됐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당첨자는 다음달 11일 오후 2시 이후 보금자리주택 홈페이지에 공고한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상가투자시 전용률의 크기가 다른 만큼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상가 유형에 따라 전용면적 적용이 다르게 나타나 분양정보만 믿고 샀다가는 고스란히 낭패를 보기 때문이다.26일 상가정보 제공업체인 상가뉴스레이다에 따르면 올해 1월 이후 고양, 안산, 파주 등 경기도를 비롯해 전국에서 분양을 시작한 120개 상가에 대한 전용률을 조사한 결과, 근린상가의 전용률이 57.43%, 단지내상가 73.99%, 주상복합상가 50.63%, 멀티테마상가 40.02%로 집계됐다. 전용률이란 분양면적에서 복도, 층계, 관리사무소 등 공공 시설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면적이 분양면적에서 얼마만큼 차지하는가를 보여주는 백분율로, 전용률이 높다는 것은 실사용면적이 그만큼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용률이 가장 높은 상가형태는 단지내상가로 테마멀티(테마+멀티복합)상가 형태에 비해 약 1.85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단지내상가는 특성상 주로 단지 주민들을 위한 생활밀착형 업종들로 구성돼 건물층수가 높지 않고 엘리베이터 등 공용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 전용률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테마멀티상가는 적은 면적의 상가를 다수로 공급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용률이 비교적 낮게 형성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전용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전용률이 100%에 가까울 경우 내부통로가 존재하기 어려워 이용객들의 유동동선이 외부 동선에만 의지할 수 밖에 없으며, 상가 활성화를 위한 필요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상가뉴스레이다 선종필 대표는 상가투자시 분양가격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인데, 분양가격의 산정기준을 전용면적으로 바꿔 가격선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전용면적이 넓으면 점포활용도 측면에서 타 상가에 비해 비교우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해당 점포의 전용률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 투자자 스스로 상가의 적정가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임명수기자 lms@ekgib.com
국세청은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비과세 대상인 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다음 달 1일 이전에 주소지 지방자치단체와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해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26일 밝혔다.국세청은 올해 주택분 종부세 예상 납부의무자 17만1천명 가운데 비과세 대상인 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주택임대업 사업자 등록이 돼 있지 않은 사람이 1만1천명에 달한다며 최근 이들에게 안내문을 발송했다고 말했다.또 사업자 등록을 했더라도 오는 9월16~30일까지 비과세 신고기간에 합산배제신고를 해야 비과세를 받을 수 있다고 국세청은 덧붙였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부동산 침체기에도 인기 있는 단지는 있다. 바로 역세권 중소형아파트가 그렇다. 역세권 중소형아파트는 수요층이 두터워 환금성이 좋고 경기불황이나 침체기에도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자금부담이 덜한 중소형아파트는 앞으로도 찾는 수요층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부동산정보업체인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올해 경인지역에 분양 예정인 단지 중 역세권에 위치하고 중소형아파트(전용면적 85㎡ 이하)가 포함된 곳을 소개한다.경기도에서는 성남시 단대구역을 대우건설이 재개발해 총 1천140가구 중 85~164㎡ 252가구를 오는 6월에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여기서 중소형아파트는 85~109㎡ 155가구.서울지하철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이 도보 1~2분거리인 초역세권 단지이다.이 외에도 서울외곽순환도로와 동부간선도로 등 강남권과 수도권 외곽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도로망을 갖췄다.동부건설은 남양주시 도농동 경신연립을 재건축해 457가구 중 87~143㎡ 289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중소형아파트는 87~110㎡ 225가구이며, 오는 9월에 분양할 계획.중앙선 전철 도농역이 걸어서 10분 거리다. 서울외곽순환도로 남양주 인터체인지가 차로 2분내 거리이며, 이마트(도농점)와 왕숙천 등이 인접해 있다. 남광토건은 안양시 석수동 동삼아파트를 재건축해 281가구 중 79~105㎡ 116가구를 일반분양할 계획이다.모두 중소형아파트로만 구성되며, 분양시기는 오는 6월 예정이다.경부선 전철 석수역이 걸어서 10분이면 이동이 가능하다.단지 옆에는 안양천이 흐르고, 연현초등과 연현중이 걸어서 통학 가능해 주거환경이 우수하다. 이어 양주시 덕정동 417의 2번지 일대 신도종합건설이 109~129㎡ 1천38가구를 분양하고, 이 중 중소형아파트는 109~110㎡ 874가구다. 분양시기는 하반기 예정이다. 경원선 전철 덕정역을 걸어서 10분이면 이용할 수 있고 이마트(양주점)와 롯데마트(양주점) 등이 인근에 위치한다.특히 양주신도시 사업이 진행 중으로 간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 인천에서는 삼성물산과 풍림산업이 인천 부평구 부평5구역을 재개발해 1천381가구 중 80~149㎡ 579가구를 오는 10월에 분양할 예정이다.중소형아파트 물량은 아직 미정인 상태이며, 인천지하철 1호선 부평시장역이 도보 5분거리다. 신트리공원이 인접하고 부평중, 부평고 등 학군을 걸어서 통학할 수 있다. 이밖에 동부건설이 인천 계양구 귤현동 일대에서 109~175㎡ 1천425가구를 오는 8월에 분양할 예정이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성남 분당구 정자동 파크뷰2004년 준공된 13개동 1천829가구의 대단지로 해당물건은 35층 건물의 20층이다. 분당선 수내역 정자역이 걸어서 10분 거리이다. 주변에는 어린이공원, 탄천 등 레저시설이 있고 정자초교, 늘푸른고 등의 교육시설도 가깝다. ▲소재지: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6 파크뷰 607동 2004호▲면적: 162.9㎡ (49.3평) / 대지지분 57.6㎡▲감정가: 17억5천만원▲최저 매각가: 11억2천만원 (감정가대비 64%)▲입찰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경매일시: 6월7일 10시고양 백마마을 쌍용아파트1994년 준공된 8개동 576가구의 단지로 해당물건은 19층 건물의 8층이다. 경의선 백마역이 도보 3분 거리이다. 주변에는 백마공원, 설촌공원, 마두공원, 냉천공원 등 레저시설이 있고 백마초교, 백마중, 백석고 등의 교육시설도 가까이 있다. ▲소재지: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717 백마마을쌍용아파트 506동 803호▲면적: 70.4㎡ (21.3평) / 대지지분 53.1㎡▲감정가: 3억2천만원▲최저 매각가: 2억5천600만원 (감정가대비 80%)▲입찰법원: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경매일시: 6월8일 10시광주 실촌읍 부항리 전원주택2004년 준공된 2층 전원주택으로 토지 660㎡(199.7평) 건물 198.5㎡(60평) 이다. 통영대전고속도로 곤지암IC에서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위치했다. 주변에는 남촌CC, 그린힐CC, 정개산 등 레저시설이 가까이 있다. ▲소재지: 광주시 실촌읍 부항리 20-5▲면적: 198.5㎡(60평) / 대지 660㎡▲감정가: 3억3천365만원▲최저 매각가: 2억1천353만원 (감정가대비 64%)▲입찰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경매일시: 6월7일 10시안양 만안구 안양동 다세대주택2007년 준공된 10세대의 다세대주택으로 해당물건은 4층 건물의 3층이다. 1호선 명학역이 걸어서 10분 거리이다. 주변에는 명학공원, 수리산, 명학시장 등 레저편의시설이 있고 신성중, 성문고 등의 교육시설도 가까이 있다. ▲소재지: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495-1 302호▲면적: 61.2㎡ (18.5평) / 대지지분 37.7㎡▲감정가: 1억8천만원▲최저 매각가: 1억4천400만원 (감정가대비 80%)▲입찰법원: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경매일시: 6월8일 10시30분자료제공=㈜지지옥션(www.ggi.co.kr)
국토해양부는 인천 구월, 광명 시흥, 하남 감일 등 5곳을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확정해 고시했다고 25일 밝혔다.이들 5개 지구는 주민 공람과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난 3월31일 발표된 대로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확정됐다.총 면적은 21.161㎢로 12만1천300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며 이 중 보금자리주택은 8만7천800가구다.광명 시흥지구의 경우 주변 도시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개발한다는 방침에 따라 1단계 보금자리주택 물량 2만2천가구만 다른 지구와 함께 분양할 예정이어서 실제 3차 보금자리 주택 물량은 4만800가구다.국토부는 영구국민공공임대 등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과 중소형 분양주택을 공급하기로 하고 규모별 가구 수 등은 지구계획 수립 단계에서 결정할 예정이다.국토부는 올 4분기 지구계획을 확정하고 보금자리주택 중 공공분양 및 10년분납임대 주택의 사전예약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첫 입주는 2014년 상반기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전세시장은 2주째 약세를 보인 ▽서울(-0.01%)과 ▽수도권(-0.01%)이 하향 조정됐고 한 주간 오른 지역들도 0.1% 안팎의 미미한 상승률을 보이는 데 그쳤다. 분당이 소폭 오른 신도시만 ▲0.02% 올랐다. 2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신도시는 ▲분당(0.08%)이 유일하게 상승했고 ▽평촌(-0.06%) ▽산본(-0.01%)은 하락했다. 분당은 꾸준히 전세 계약이 진행되고 있다. 야탑동 탑선경, 경향, 진덕 등이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평촌과 산본은 전세 수요가 적은 대형 아파트 중심으로 전셋값이 내렸다.수도권은 ▽용인(-0.1%) ▽고양(-0.07%) ▽의왕(-0.05%) ▽파주(-0.02%) ▽수원(-0.02%) 지역이 하락했다. 용인은 중동 어은목마을코아루, 초당마을코아루, 보정동 보정대림e-편한세상 등이 하락했다. 고양은 탄현동 큰마을현대대림 등에서 전세매물이 나오지만 인근 새아파트 입주와 시장 비수기까지 겹쳐 찾는 사람이 없고 매물은 쌓이고 있다.오른 지역은 ▲광명(0.09%) ▲광주(0.08%) ▲화성(0.06%) 등이다. 광명은 철산동 주공9단지, 하안동 하안주공1단지 등의 소형 중심으로 소폭 올랐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