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 길병원 국민검진센터, 민간재해예방기관평가 2년 연속 S등급… 우수성·신뢰도 입증

가천대 길병원 국민검진센터가 산업보건 전문기관으로서 우수성과 신뢰도를 다시 한번 입증 받았다. 9일 고용노동부 등에 따르면 ‘민간재해예방기관평가’는 산업 현장 안전과 보건을 책임지는 기관들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신뢰할 수 있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을 선별할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다. 가천대 길병원 국민검진센터는 최근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이 주관한 ‘2025년 민간재해예방기관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S등급을 획득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최고 등급을 달성했다. 고용노동부는 운영체계, 업무성과, 수행능력, 사업장 만족도 등 다각적인 기준으로 평가 항목을 구성했으며 기관 전문성과 체계적 운영능력이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가천대 길병원 국민검진센터는 직업환경의학과를 중심으로 전문의, 간호사, 산업위생관리기사 등 분야별 전문 인력이 협업해 근로자 작업 환경은 물론, 지역 주민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원준 국민검진센터 센터장은 “2년 연속 S등급은 센터 구성원들 헌신과 전문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산업 현장의 건강과 안전을 든든히 지키는 기관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폭염에 군장병들도 인천에서 유격훈련 중 쓰러져... A사단 “남은 훈련 실내 전환”

A사단에서 훈련 중이던 병사와 간부가 폭염으로 인해 어지러움을 호소, 병원 진료를 받았다. 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7일 오후 5시께부터 병사 6명과 간부 1명이 훈련 중 어지러움을 호소했다. 이들은 부대 의무시설에서 초기 진료를 받고 민간 의료 시설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날 5명이 병원에서 퇴원했고 2명은 아직 입원치료 중이다. 당시 이들은 부평구 유격훈련장에서 유격 훈련을 하던 것으로 확인됐다. A사단은 훈련 중 병사 등이 어지러움을 호소하자 훈련을 중단했지만, 지난 7일은 훈련이 불가능한 온도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군은 ‘온도지수’라는 기준에 따라 폭염 시 훈련을 제한한다. 온도지수는 온도와 습도, 일사량 등을 일정한 공식으로 계산해 산출하는데, 온도지수가 26.5이상이며 29.5미만일 경우 야외훈련시 미숙련자 주의조치를 내린다. 29.5이상 31미만일 경우 뜀걸음, 행군 등 과중한 훈련은 지양하고 옥외훈련은 조정 가능하다. 31이상일 경우 옥외훈련을 제한하거나 중지한다. 당시 훈련장 온도지수는 29.9~30 정도로 알려졌다. A사단은 계획한 훈련을 실내 훈련으로 전환하고 지침에 따라 정상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A사단 관계자는 “온도지수 지침에 따라 훈련을 하던 중 현장 재량으로 훈련을 중단하고 어지러움을 호소한 인원들을 병원으로 보냈다”며 “그 이후 훈련은 상황을 고려해 실내에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더위 쉼터’ 우후죽순… 진짜 ‘피서명당’ 찾아 삼만리 [집중취재]

인천시가 무더위 쉼터를 해마다 확대하고 있지만, 정작 시민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은 크게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선 단순 공간을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닌, 접근성·이용 편의성·냉방환경 등을 고려해 실효성 있는 공간으로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8일 시에 따르면 인천의 무더위 쉼터는 지난 2024년 1천345개에서 올해 1천698개로 353개 늘었다. 유형별로는 은행·마트(생활민간시설) 등이 327개 늘었고, 도서관·행정복지센터(공공시설) 22개, 경로당·복지관이 4개 증가했다. 야외쉼터는 320곳으로 변동 없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종전 시설에 ‘무더위 쉼터’ 표지판만 추가 지정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실제 운영 실태나 환경 개선 없이 명목상 개소 수만 늘린 셈이다. 인천연구원이 인천의 무더위 쉼터 55개(실내 28개·실외 27개)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한 결과, 무더위 쉼터임을 안내하는 표지판이 설치된 곳은 29곳(52.7%)에 불과했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쉼터가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다반사다. 특히 야외쉼터는 햇볕을 막을 시설조차 없어 무용지물에 가깝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2024년부터 일몰 이후에도 쉼터를 열 수 있는 ‘야간 운영 지침’을 도입했지만 여전히 실효성은 낮다. 더 큰 문제는 시에서 쉼터 이용 현황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시민의 쉼터 이용률, 체류 시간, 만족도, 피해 저감 효과 등 실질적 평가지표를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과거엔 운영대장을 기록했지만, 현재는 대장을 폐지한 상태”라며 “실제 쉼터 이용률이나 기능성 측정 등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결국 기후위기에 따른 폭염은 해마다 심화하는 상황에서 인천의 온열질환자도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인천에서는 205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고, 올해에도 7월 초 현재까지 22명이 응급실을 찾았다. 대부분 65세 이상 어르신이나 기초생활수급자 등 폭염 취약계층이다. 류지은 인천탄소중립·연구지원센터 책임연구원은 “무더위 쉼터는 단순히 개수를 늘리는데 집중할 것이 아니라, 어르신·1인 가구 밀집지역 등 공간정보 기반의 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접근성과 냉방환경 개선, 이용자 만족도 조사 도입 등 실효성 중심의 평가 체계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인천 무늬만 ‘무더위 쉼터’… 실내 인원·시간 제한, 찜통 실외는 그늘막 뿐 [집중취재] https://kyeonggi.com/article/20250708580327

시간·공간 제한… 무늬만 ‘무더위 쉼터’ [집중취재]

“말만 무더위 쉼터지, 들어가지도 못하는데요 뭐.” 8일 정오께 인천 남동구 구월동의 한 공원 앞 경로당. 이곳은 인천시가 지정한 ‘무더위 쉼터’다. 굳게 닫힌 문 앞에는 ‘외부인 출입금지’가 붙어 있다. 이 때문에 기온 36도(℃)를 훌쩍 넘긴 푹푹찌는 더위 속, 나무 그늘 아래 앉은 60~70대 어르신 수십여명이 부채질을 하며 이마에 흐르는 땀을 닦고 있다. 이 경로당은 연회비 2만5천원을 낸 정식 회원만 드나들 수 있고, 일반 주민은 더워도 들어가 쉴 수가 없다. 이 곳에서 만난 전홍의씨(66)는 “인근에 무더위 쉼터는 이 곳 뿐인데, 경로당에 들어가지 못하니 그림에 떡일 뿐”이라며 “물이라도 마셨으면 좋겠는데, 못들어가게 막는다”고 말했다. 이어 “조금 떨어진 곳에 은행이나 주민센터가 있지만, 일하는 직원들 사이에서 눈치보이는 것은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날 미추홀구의 무더위 쉼터인 한 정자. 10여명이 들어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이지만, 아무도 찾는 주민이 없다. 유리창으로 외부와 차단이 가능한 정자지만 내부에 선풍기 1개만 있어 덥기는 밖이나 마찬가지인 탓이다. 박후자씨(55)는 “안에 들어가봤자 바람도 잘 안통해 선풍기가 뜨거운 바람만 쏟아낸다”며 “되레 밖이 더 살만할 정도”라고 말했다. 인천의 무더위 쉼터가 ‘무늬만 쉼터’로 전락했다. 실내 무더위 쉼터는 일반 주민들이 이용하지 못하거나 업무시간에만 오가는 등 제약이 크고, 실외 무더위 쉼터는 사실상 그늘막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인천에는 실내 쉼터는 997곳과, 실외 쉼터 320곳 등 총 1천698곳의 무더위 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중 실내 쉼터는 경로당 664곳을 비롯해 도서관·행정복지센터(공공시설) 209곳, 은행·마트(생활민간시설) 449곳 등이다. 그러나 대부분 경로당은 회원 등 고정 이용자만 들어가 쉴 수 있는데다, 행정복지센터나 은행 등은 업무 시간에만 오갈 수 있는 등의 제약이 크다. 만약 무더위를 피해 들어가 쉰다해도 눈치가 보이는 것은 덤이다. 더욱이 경로당을 제외한 나머지 무더위 쉼터는 고통스러운 열대야를 피해 야간에 이용하거나, 주말 및 공휴일에는 이용할 수 없다. 여기에 실외 무더위 쉼터는 더욱 열악하다. 그늘막이나 벤치 정도만 있는 곳이 대부분이고 냉방 기기나 냉수 등도 찾아볼 수 없다. 전용호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누구나 무더위에 지치면 잠시라도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며 “무더위 쉼터로 지정만 해 놨을 뿐, 운영 실태 등을 파악하지 않아 무늬만 쉼터로 전락한 것”고 지적했다. 이어 “무더위 쉼터 지정 숫자에 연연하지 않고, 제대로 쉴 수 있는 쉼터를 운영할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무더위 쉼터의 운영시간이나 공간 특성상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며 “무더위 쉼터 지정 때 운영 방식 등을 민간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들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운영 실태 점검 등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무더위 쉼터’ 우후죽순… 진짜 ‘피서명당’ 찾아 삼만리 [집중취재] https://kyeonggi.com/article/20250708580342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