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측 “5일 특검팀 출석 요구에 늦더라도 응할 것”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이 오는 5일 오전 9시에 출석해 조사 받으라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요청에 응하기로 했다. 윤 전 대통령 대리인단은 2일 “당일 오전 9시 정각에 도착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 10~20분 정도 늦더라도 출석해서 진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적극적으로 가서 진술할 것이고 불출석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전날 조 특검은 윤 전 대통령에게 5일 오전 9시까지 반드시 출석하라고 통지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출석 시간을 1시간 늦춰 달라고 요청했으나, 조 특검은 이를 수용하지 않고 “불응 시 체포영장을 신청하겠다”며 ‘최후 통첩’을 보냈다. 앞서 특검팀은 1차 대면조사 후 윤 전 대통령에게 지난달 30일 오전 9시에 출석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 측이 형사 재판 준비, 건강상의 문제를 이유로 일정 조정을 요청했다. 특검팀은 다음날인 1일 출석을 재요구 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이 출석 일자를 5일 이후로 연기해 달란 의견서를 제출한 뒤 출석하지 않아 1일 대면 조사가 무산됐다. 조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조사에 불응한 것으로 간주하고 윤 전 대통령 측에 오는 5일 오전 9시 반드시 출석해 조사받으라고 통보했다. 특검팀은 “사회 일반의 업무 개시 시간, 지난 조사 경과 및 조사량이 많은 점을 고려해 윤 전 대통령에게 5일 오전 9시 출석을 재차 통지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에도 지난번과 동일한 변호사 세 명이 입회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28일 열린 대면조사에는 송진호·채명성·김홍일 변호사가 입회했다.

내란특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소환…내란 방조 의심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외환 사건 수사 담당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소환했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한 전 총리에게 이날 오전 10시 서울고검 조사실로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내란을 묵인 또는 방조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한 전 총리는 대통령 집무실로 들어가 '다른 국무위원들도 불러서 얘기를 더 들어봐야 하지 않겠냐고 대통령을 설득했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이후 대통령 부속실 직원들까지 국무위원들에게 연락을 급하게 돌리면서 '정족수를 채워 선포 요건을 갖추려 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비상계엄 선포 이후 작성된 새로운 계엄 선포문이 폐기된 정황과 관련됐는지도 수사하고 있다.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은 국무총리와 국방부 장관의 서명이 담긴 비상계엄 선포 문건을 사후에 작성할 목적으로 한 전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 전 총리는 며칠 뒤 '사후 문건을 만들었다는 게 알려지면 또 다른 논쟁을 낳을 수 있으니 없던 일로 하자'고 요청했고 이에 따라 계엄 이후 작성된 문건은 폐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조사에 출석하면 불법 계엄을 사후 은폐하려 한 건지, 비상계엄과 내란에 가담·동조한 것인지 등을 자세히 물을 예정이다.

11살 김연우 군, 3명에게 새 삶 주고 '하늘의 별' 되다

11살 김연우 군이 소중한 생명을 나누고 하늘로 떠났다. 어린 나이에 병마와 싸우며 긴 시간을 버텨온 연우 군은 마지막 순간, 장기기증으로 3명에게 새 삶을 선물했다. 2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에 따르면, 김연우 군은 지난 5월 24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뇌사 판정을 받고 심장과 양측 신장을 기증한 뒤 숨을 거뒀다. 그의 장기는 이식 대기자들에게 전달돼, 생명을 이어가게 했다. 연우 군은 2014년 5월 태어났다. 그러나 생후 불과 60일 만에 응급 뇌수술을 받아야 했다. 이후 그는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누워 지내며 병원과 집을 오가는 힘겨운 일상을 이어왔다. 2019년에는 갑작스러운 심정지를 겪으며 뇌 기능이 크게 저하됐고, 여러 장기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위기에 빠졌다.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연우 군의 가족은 큰 결정을 내렸다. 아들의 장기를 기증해 다른 생명을 살리기로 한 것이다. 김 군의 가족은 "연우가 이식받은 아이에게로 가서 건강하게 잘 살았으면 좋겠다"며 "아픈 아이를 오래 키우다 보니 아픈 자식을 돌보는 마음을 잘 알고 있기에 수혜자와 가족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지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우 군이 전한 마지막 선물은 절망의 끝에서 희망이 되었다. 어린 생은 짧았지만, 그의 따뜻한 나눔은 세 사람의 삶 속에서 계속 숨 쉬고 있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