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가 원활한 경기 진행과 선수들의 실력 배양을 위해 컷오프 규정을 강화한다. KLPGA는 8일 "올해부터 KLPGA가 주관 또는 주최하는 대회에서 일정 기준 타수 이상을 기록한 선수는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없게 된다"고 밝혔다. 기준 타수는 88타로 매라운드 평균 88타 이상을 기록한 선수는 자동 컷오프된다. 즉 1라운드에서 88타를 치면 2라운드로 진출할 수 없게 된다. 만약 1라운드에서 87타를 치더라도 2라운드에서 89타를 칠 경우, 평균 88타가 되면서 자동 탈락된다. 시니어투어를 제외한 모든 KLPGA 투어 대회에 적용되며 예선 컷오프가 없는 대회에서도 이 규정에 따라 탈락되는 선수들이 나오게 된다. KLPGA는 정회원 자격 부여 특전 기준도 강화했다. 그동안 해외투어(USLPGA, JLPGA, LET)에서 3년간 풀시드권을 획득한 경우, KLPGA 정회원의 자격을 줬지만 바뀐 규정에 따르면 USLPGA투어 상금랭킹 50위 이내, JLPGA투어 상금랭킹 30위 이내, LET 상금랭킹 20위 이내의 자격을 3년간 유지한 선수로 한정된다. 또 대한민국 국적자이거나 혈연주의에 입각해 부모 중 1명이라도 한국 국적인 외국 국적자에게만 KLPGA 정회원의 자격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해당 투어에서 기준 상금랭킹을 3년간 유지해야 하며 비록 우승을 한 선수일지라도 그 이듬해에 기준 상금랭킹 안에 들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게 된다. 대신 롤렉스 월드랭킹 상위자(1~20위)에게 KLPGA 선수권대회 참가 특전을 부여했다. 그동안 KLPGA는 어떤 대회도 월드랭킹 상위자에게 참가 특전을 부여한 적이 없었다. 김일곤 사무국장은 "KLPGA투어의 높아진 위상에 맞게끔 점차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KLPGA는 한일국가대항전에 참가할 13명의 대표 선수를 기존 한일전포인트 대신 상금순위로만 선발할 예정이다. 상금순위에 따라 USLPGA투어에서 5명, KLPGA투어에서 4명, JLPGA투어에서 3명씩 선발하고 스폰서초청 1명 등 총 13명으로 대표팀을 구성한다.
한국남자골프의 '유망주' 노승열(19 타이틀리스트)이 메이뱅크 말레이시아 오픈 정상에 올랐다. 노승열은 7일(한국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골프장(파72 6,994야드)에서 열린 대회 최종 라운드에서 4타를 줄이며 최종합계 14언더파 우승을 차지했다. 메이뱅크 말레이시아 오픈은 유럽프로골프투어와 아시아투어가 공동 주최하는 대회. 특히 노승열은 한국남자골프의 간판 최경주(40)를 따돌리고 정상에 올라 가능성을 확실히 인정받았다. 공동 3위로 최종 라운드에 들어선 노승열은 마지막 18번홀(파5) 극적 버디로 최경주를 제쳤다. 18번홀 버디와 함께 먼저 라운드를 끝낸 최경주와 공동 선두였던 상황. 티샷과 두 번째 샷이 어이없이 벗어나며 연장에 들어서는 듯 했지만 세 번째 샷을 홀 50cm 옆에 붙인 뒤 깔끔한 버디를 잡아냈다. 2005년 만 13세8개월 최연소로 국가대표에 뽑혔던 노승열은 2008년 역대 두 번째 어린 나이로 아시아 투어 미디어차이나 클래식에서 우승한 뒤 그해 신인왕에 올랐다. 이후 우승과 인연이 없었지만 2년 만에 다시 우승 트로피를 차지하며 다시금 우승 행진에 시동을 걸었다. 지난해 10월 아시아투어 이스칸다르 조호르 오픈 우승 이후 조금씩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최경주도 마지막까지 선전했지만 '후배'의 환상적인 샷에 우승을 내줬다.
한국프로골프(KPGA)투어에 새로운 형식의 매치플레이 대회인 '먼싱웨어 챔피언십'이 신설된다. 아메리칸 트래디셔널 프리미엄 골프 브랜드인 먼싱웨어는 3일 총상금 4억원(우승상금 1억원) 규모의 한국프로골프투어(KGT)의 공식대회인 '먼싱웨어 챔피언십'을 올해부터 2012년까지 3년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형식의 매치플레이 방식으로 열리는 이 대회는 연중 예선을 거쳐 오는 10월 충북 청원의 이븐데일컨트리클럽에서 본선 을 치른다. 지난해 상금랭킹 상위 96명이 참가하는 이 대회는 상위 32명의 선수들에게는 1차 예선 면제의 시드를 부여하고 33위부터 96위까지 1차 예선을 거쳐 통과한 32명의 선수가 상위 32명의 선수와 치열한 매치플레이를 펼쳐 우승자를 가리게 된다. 이번 대회 예선은 본선이 열리기 전까지 연중 치르게 되며, 골프전문채널 J골프가 매주 중계방송을 할 예정이다. 데상트코리아 김훈도 사장은 "한국 골프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이번 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면서 "한국 골프 저변 확대와 중흥을 위해 지속적으로 후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골프 지존' 신지애(22.미래에셋)와 최근 무섭게 치고 나가는 일본의 골프 영웅 미야자토 아이(24)가 일본 무대에서 정면 대결을 펼친다. 신지애와 미야자토는 오는 5일부터 사흘간 일본 오키나와 류큐 골프장(파72.6,439야드)에서 열리는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투어 시즌 개막전인 '다이킨 오키드 레이디스'에 나란히 출전해 우승 경쟁을 펼친다. 지난해 미국 무대에 공식 데뷔한 신지애는 3관왕에 오르며 세계 정상급 선수로 자리매김 했고, 신지애보다 3년 앞서 미국에 데뷔했던 미야자토는 지난해에 생애 첫 승을 올리는 등 뒤늦게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하지만 이 두선의 올해 행보는 시즌 초반이기는 하지만 확연히 다르다. 미야자토는 태국과 싱포포르에서 진행된 LPGA투어 시즌 개막 두경기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일본 언론들은 미야자토의 개막 2경기 연속 우승은 LPGA투어 사상 통산 5번째 기록으로, 시즌 상금왕이 유력하다고 연일 대서특필하고 있다. 반면, 개막전에서 공동 22위에 머문 신지애는 이어 벌어진 두번째 대회에서도 3라운드까지 20위권 밖에서 머물다 마지막 날 5타를 줄이며 겨우 공동 3위로 대회를 마쳤다. 미야자토의 상승세가 계속된다면 신지애와 로레나 오초아(멕시코)의 양강 체제로 굳어진 LPGA투어 판도 변화가 불가피해진다. 세계랭킹 1,2위인 두 선수가 방심할 경우 삼각체제 혹은 미야자토의 일방 독주로 흐를 수도 있다. 신지애는 일본에서 미야자토의 거침없는 상승세에 반드시 제동을 걸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결국 두 선수는 향후 LPGA투어 판도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서서는 이번에 불꽃튀는 대결을 벌일 전망이다. 한편, 이 대회에는 지난해 일본투어 신인왕 송보배(24)를 비롯해 이지희(31), 전미정(28)이 출전해 우승에 도전한다. 또 올 시즌 일본투어에 새롭게 가세한 안선주(23)와 박인비(22)도 출전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바람의 아들' 양용은(38)이 생애 처음으로 미국프로골프(PGA)투어 대회 타이틀 방어에 나선다. 양용은은 오는 4일(이하 한국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가든스 PGA내셔널 골프장 챔피언코스(파70.7,158야드)에서 열리는 '혼다클래식'에 출전해 2년 연속 우승에 도전한다. 양용은은 '4년전 PGA투어에 첫발을 내디딘 이후 온갖 고생을 하다 처음으로 우승컵을 들어올린 대회가 '혼다클래식'이라 감회가 남다르다. 양용은은 "한 시즌 동안 여러 대회에 출전하다 보면 마음에 딱 맞는 코스가 있는데 '혼다클래식'이 열리는 PGA내셔널 골프장이 그런 곳"이라면서 "이 골프장에만 가면 왠지 가슴이 탁 트인다"고 말했다. 양용은은 이 대회에서 우승하고나서 '나도 할 수 있다'는 확고한 자신감 갖게 됐으며, 결국 그해 8월 메이저대회인 'PGA챔피언십'에서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를 제치고 역전우승을 차지해 전세계를 깜짝놀라게 했다. 양용은은 지난주 시즌 다섯번째 출전한 '웨이스트 매니지먼트 피닉스 오픈'에서 시즌 최고 성적인 공동 3위에 오르며 샷 조율을 마쳤다. 시즌 개막전 'SBS챔피언십'에서 19위에 오른 이후 한번도 상위 20위 이내 성적을 올리지 못했던 양용은은 '피닉스 오픈'에서 시즌 처음으로 톱10에 진입하면서 플레이도 한결 여유로워졌고 자신감도 되찾게 됐다. '피닉스오픈' 때 감기로 고생한 양용은은 현재 집에서 충분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혼타클래식'에 초점을 맞춰 컨디션을 조절하고 있다. 한국(계) 선수중에는 위창수(38.테일러메이드)와 재미교포 앤서니 김(25.나이키골프)이 출전한다. 또 이번 대회에는 세계랭킹 4위 리 웨스트우드와 폴 케이시(이상 잉글랜드), 유러피언투어의 신성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 파드리그 해링턴(아일랜드) 등 유럽의 톱랭커들이 출동해 우승 경쟁에 나선다. 올 시즌 부활을 노리고 있는 '탱크' 최경주(40)는 같은 기간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시아투어 '메이뱅크 말레이시아오픈'에서 우승을 노리고 있다. 지난해 이 대회 우승자인 재미교포 앤서니 강(38)도 출전해 2년 연속 우승에 도전하고, 뉴질랜드 교포 유망주 이진명(20.캘러웨이)도 출사표를 던졌다.
유러피언투어의 강자 이언 폴터(잉글랜드)가 월드골프챔피언십(WGC) '액센츄어 매치플레이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폴터는 22일(한국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마라나의 리츠칼튼 골프장에서 36홀 매치플레이로 열린 대회 결승전에서 폴 케이시(잉글랜드)에 4홀차 완승을 거두고 우승 상금 140만 달러를 받았다. 유럽피언투어에서 8승을 거두고 이번에 미국 무대에서 첫 우승을 챙긴 폴터는 세계랭킹도 11위에서 5위로 급상승했다. 준결승에서 세르히오 가르시아(스페인)를 제압하고 결승에 올라온 폴터는 이날 폴 케이시를 상대로 여유있는 플레이를 펼쳐 감격의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18번째홀까지 2홀차로 앞선 폴터는 19번째홀(파4)과 20번째홀(파5)에서 연속 버디를 잡아 승기를 잡았다. 상승세를 탄 폴터는 33번째홀(파4)에서 버디를 잡으며 결국 34번째홀(파3)이 끝난 뒤 2홀을 남기고 4홀차의 완승을 이끌어 냈다. 전날 카밀로 비예가스(콜롬비아)를 연장전 끝에 물리치고 결승에 올라온 폴 케이시는 선전을 펼쳤지만 폴터를 넘지 못하고 2년 연속 준우승에 머물러야 했다. 한편, 폴 케이시에 눌려 결승 진출이 좌절됐던 비예가스는 3-4위전에서 가르시아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올 시즌 부활을 노리는 '탱크' 최경주(40)가 미국프로골프(PGA)투어 '마야코바 클래식'에서 공동 20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최경주는 21일(한국시간) 멕시코 퀸타나루 엘카말레온 골프장(파71.6,923야드)에서 막을 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이븐파 71타에 그쳐 최종 합계 7언더파 277타로 공동 20위를 기록했다. 전날 7언더파로 공동 17위에 올랐던 최경주는 마지막 날 톱10 진입을 위해 선전을 펼쳤으나 버디 2개에 보기 2개로 타수를 줄이지 못하는 바람에 상위권으로 순위를 끌어올리지 못했다. 1번홀을 출발한 최경주는 4번홀에서 보기를 범한 뒤 7번과 8번홀에서 연속 버디를 잡아내며 상승세를 타는듯 했다. 하지만 최경주는 후반 12번홀에서 보기로 1타를 잃은 뒤 더 이상의 타수를 줄이지 못한채 최종 라운드를 마쳐야 했다. 티 샷이 흔들렸고, 퍼팅도 불안했다. 페어웨이 안착률이 43%에 그친데다 그린에서의 퍼팅도 31개를 기록하는 등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한편, 이번 대회 우승은 최종 합계 15언더파 269타를 기록한 카메론 버크만(미국)에게 돌아갔다. 이날 4타를 줄인 버크만은 3라운드까지 1위를 질주한 조 듀런트(미국.13언더파)를 2타차로 제치고 감격의 통산 3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생애 첫 우승을 노리던 김송희(22)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 시즌 개막전 '혼다 PTT LPGA 타일랜드'에서 공동 6위로 대회를 마쳤다. 김송희는 21일(한국시간) 태국 촌부리 샴골프장 올드코스(파72.6,477야드)에서 끝난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1타를 잃어 최종 합계 12언더파 276타 공동 6위에 올랐다. 전날 13언더파로 단독 2위에 올라 우승이 기대됐던 김송희는 이날 버디 4개에 더블보기 1개, 보기 3개를 기록하는 부진 끝에 타수를 잃어 우승을 다음 기회로 미뤄야 했다. 이번 대회 우승은 최종 합계 21언더파 267타를 기록한 미야자토 아이(일본)에게 돌아갔다. 미야자토는 전날 12언더파로 단독 선두 수잔 페테르센(노르웨이)에게 6타나 뒤져 있었지만 이날 9언더파의 맹타를 휘두른 끝에 1타 차이로 페테르센을 꺾고 감격의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06년 LPGA투어에 데뷔해 지난해 '에비앙마스터스'에서 생애 첫 우승을 신고했던 미야자토는 이로써 올 시즌 개막전에서 통산 2승째를 수확했다. 반면,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을 노리던 페테르센은 거침없이 추격해온 미야자토의 기세에 눌려 고작 2타를 줄이는 데 그치며 우승컵을 내줘야 했다. 3, 4라운드에서 선전을 펼친 루키 양희영(20.삼성전자)은 최종 합계 11언더파 277타로 단독 10위에 올랐다. 1, 2라운드에서 선두권을 형성하며 LPGA투어 데뷔 첫 승을 노리던 박희영(22.하나금융)은 이날 1타를 잃어 최종 합계 10언더파 278타 김인경(22.하나금융) 등과 함께 공동 11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또 최나연(23.SK텔레콤)과 이선화(24.CJ), 허미정(21.코오롱)이 8언더파 280타로 공동 13위에 자리한 가운데 '골프 지존' 신지애(22.미래에셋)는 최종 합계 5언더파 283타로 위성미(21.나이키골프), 배경은(25.볼빅) 등과 함께 공동 22위에 머물렀다. 한편, '디펜딩 챔피언' 로레나 오초아(멕시코)는 6언더파 282타로 공동 18위에 그쳤다.
김송희(22)가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 시즌 개막전인 '혼다 PTT LPGA 타일랜드' 세쨋날 단독 2위에 오르며 생애 첫 우승 기회를 잡았다. 김송희는 20일(한국시각) 태국 촌부리 샴골프장 올드코스(파72. 6,477야드)에서 계속된 대회 3라운드에서 4타를 줄여 중간 합계 13언더파 203타로 단독 2위에 올랐다. 18언더파 198타로 단독 선두에 나선 수잔 페테르센(노르웨이)과는 5타 차이다. 전날 9언더파로 공동 4위에 올랐던 김송희는 이날 보기는 1개로 막고 버디를 5개나 잡으며 타수를 줄여 마지막 라운드에서 우승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 전반에 보기와 버디 1개씩을 맞바꾸며 타수를 줄이지 못한 김송희는 후반들어 펄펄 날았다. 10번홀(파5)에서 버디를 잡으며 기분좋게 후반을 시작한 김송희는 15번홀(파4)과 16번홀(파3)에서 연속 버디로 상승세를 이어간 뒤 마지막 18번홀(파5)에서도 1타를 줄이며 단숨에 단독 2위로 도약했다. 청 야니(대만)가 12언더파 204타로 미야자토 아이, 우에다 모모코(이상 일본)와 함께 공동 3위에 올라 치열한 우승 경쟁을 예고했다. 전날 11언더파로 2위에 올라 생애 첫 우승 전망을 밝게 했던 박희영(23.하나금융)은 이날 이븐파로 타수를 줄이지 못하는 바람에 중간 합계 11언더파 205타를 기록, 공동 6위로 순위가 조금 내려앉았다. 반면, 전날 2언더파로 공동 24위에 머물렀더 양희영(20.삼성전자)은 7타를 줄이는 맹타를 휘둘러 중간 합계 9언더파 207타로 단독 9위로 순위를 끌어올렸다. 첫날 공동 선두에 올랐던 허미정(21.코오롱)도 2라운드 부진을 만회하듯 4타를 줄이는 선전을 펼친 끝에 중간 합계 8언더파 208타로 김인경(22.하나금융)과 함께 공동 10위에 자리했다. 한편, '골프 여제' 로레나 오초아(멕시코)가 중간 합계 6언더파 210타로 공동 14위에 오른 가운데 '골프 지존' 신지애(22.미래에셋)는 2언더파 214타로 박세리(33), 위성미(21.나이키골프)와 함께 공동 26위에 머물렀다.
올 시즌 부활을 노리는 '탱크' 최경주(40)가 미국프로골프(PGA)투어 '마야코바 클래식' 첫 날 상위권에 오르는 무난한 출발을 보였다. 최경주는 19일(한국시간) 멕시코 킨타나로오주 플라야 델 카르멘의 엘 카말레온 골프장(파71.6천923야드)에서 열린 대회 1라운드에서 4언더파 67타를 쳐 공동 11위에 올랐다. 7언더파 64타로 단독 선두에 나선 조 듀런트(미국)와는 3타 차에 불과해 남은 라운드에서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가 우승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 같은 시기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열리고 있는 WGC '액센추어 매치플레이 챔피언십'에 상위랭커들이 대거 출전한 상황이라 최경주로서는 남은 라운드에서 선전에 따라 우승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경주는 이날 한 번도 페어웨이를 놓치지 않는 정확한 티샷과 높은 그린 적중률(78%)을 선보이며 보기는 1개로 막고 버디를 5개 잡아내며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평균 퍼트수 28개를 기록할 정도로 안정된 퍼팅 감각을 선보여 우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1번홀을 출발한 최경주는 5, 6, 8, 9번홀 버디를 잡아내면서 전반에만 4타를 줄이는 신기의 샷을 선보였다. 최경주는 후반들어 13번홀(파4)에서 버디를 추가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15번홀(파3)에서 보기를 범해 약간의 아쉬움을 남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