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킥보드 안전사고가 최근 3년간 5~6월을 중심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시중에 판매되는 주요 제품간 주행·충격 내구성과 기능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년간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어린이 킥보드 관련 안전사고는 총 2천791건이다. 소비자원은 해당 기간 일어난 안전사고 현황을 월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5~6월(864건·31%)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었다. 사고 원인별로는 '미끄러짐·넘어짐'(2천656건·95.1%)이 가장 많았다. 이어 '부딪힘'(91건·3.3%) 등 순이었다. 피해 부위별로는 '머리·얼굴'(1천935건·69.3%)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팔·손'(564건·20.2%), '둔부·다리·발'(564건·20.2%), '몸통'(35건·1.3%), '목·어깨'(34건·1.3%) 등 순이었다. 소비자원은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무릎·손목보호대, 안전모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거친 노면·내리막길 주행 자제 등 안전 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가운데 소비자원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국내 주요 브랜드 10개 제품을 시험·평가했다. 보유율이 높은 앞바퀴 2개·뒷바퀴 1개 등 3바퀴 유형의 어린이용(만 8세 이상)이면서, 최대허용하중이 50kg 이상이고, 올해 온라인 시장에 출시되는 제품을 대상으로 했다. 시험평가 대상 제품명은 ▲프리모 폴더블 판타지 라이트(잼버스코리아㈜) ▲K20121(동방레포츠㈜) ▲맥시 폴더블 디럭스(㈜지오인포테크 이노베이션) ▲NEW-M02(㈜슈나) ▲SCAVA 110L(삼천리자전거㈜) ▲하이웨이 킥3(㈜더플레이그라운드) ▲스테판 킥보드(켈리앤스테판) ▲X5 프로(㈜에스엠코프) ▲코지 쿠잉(㈜에스에이치코리아컴퍼니) ▲마카롱 스핀(㈜구름과환경) 등 10개다. 소비자원은 어린이용 킥보드 사용 장소가 장애물이 있는 인도나 놀이터 등도 포함되는 점을 염두에 두고, 30kg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10km/h 속도로 장애물 위를 일정거리(15km) 주행했다. 그 결과, K20121(롤릭) 제품의 경우 왼쪽 앞바퀴 너트의 헐거워짐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소비자원 권고에 따라 이 제품을 판매한 동방레포츠㈜ 측은 볼트 풀림 방지 코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은 또 제품에 하중(50kg)을 싣고 일정한 속도(2.5m/s)로 단단한 턱(15cm)에 부딪히는 충격 시험을 3회 진행했다. 그 결과, K20121(롤릭)과 코지 쿠잉(토이원) 2개 제품은 1회 충격 후 플라스틱 부품 손상·이탈 등이 확인됐다. 이 밖에 NEW-M02(미토)와 X5 프로(키즈휠) 제품은 제조연월을 누락하거나 한계 체중이 잘못 표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무알코올 맥주 '버드와이저 제로' 일부 제품 세균수가 기준치를 초과, 판매 중단 및 회수했다고 1일 밝혔다. 문제가 된 제품은 지난달 17일 제조된 500㎖ 제품으로, 오비맥주가 광주 공장에서 제조했다. 식약처는 이 제품을 보관하고 있는 판매자는 판매를 중단하고 회수 영업자에게 반품하라고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시술 후 환자 상태에 대한 고려 없이 지방 분해 주사제를 반복 투여, 환자의 피부 알레르기 반응을 악화시킨 의사에게 위자료를 배상하라는 조정 결정을 내렸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소비자원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022년 6월 병원에서 지방분해 주사 시술 2회를 받은 후 시술 부위에 발적과 가려움증을 겪었다. 결국 알레르기성 두드러기 진단을 받고, 약을 처방받았다. 하지만 총 8회 주사를 예약한 까닭에 시술을 포기할 수 없던 A씨는 같은 날 허벅지에 3회차 주사를 맞았다. 이후 그는 두드러기혈관염이 생겨 허벅지 전체가 빨갛게 붓고, 열감과 점상 출혈 등 증상이 발현돼 치료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위원회는 의사가 주사제에 대한 알레르기성 과민 반응이 나타난 것을 인지하고도, 원인 약물을 확인하지 않고 재투여한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봤다. 의료 행위를 할 때 환자의 구체적 증상 또는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선의 조치를 할 주의 의무를 저버렸다는 게 위원회 판단이다. 특히 이 사건의 경우 진료기록부에 지방분해 주사제에 대한 약물 정보가 기재되지 않아 약물 종류와 비율, 투여량 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지방분해 주사는 대부분 각 병원에서 독자적인 판단으로 여러 약물을 배합해 사용하고 있어, 그 효과가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의약품의 허가 사항은 과학적 근거에 따른 투약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의약품이 원래 허가된 용도 외로 사용될 경우, 의료 과실 분쟁에서 과실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투약에 관한 사항을 충분히 설명해야 하며, 그 내용을 진료기록부에도 상세히 기재해야 한다. 위원회는 "미용·성형 시술에 있어 소비자가 각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시술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고 시술받을 땐 의사에게 시술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요구하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소비자원 지방분해 주사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지난 2020년 6건, 2021년 8건, 2022년 13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건강을 위해 집에서 직접 요리해 먹는 '집밥러' 50대 10명 중 6명은 밀키트(간편 조리 세트) 구매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지난달 16일부터 20일까지 19~59세 성인 1천명을 상대로 '밀키트 제품 관련 U&I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밀키트 구매 경향이 높은 연령대별로는 ▲50대 63%가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 56.8% ▲30대 51.5% ▲20대 48.2%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전체 응답자 10명 중 9명(89.5%)은 밀키트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었다. 구매 이유로는 '재료를 직접 준비할 필요가 없다'(54.7%), '식사 준비를 빠르게 할 수 있다'가 꼽혔다. 소비자들은 '먹고 싶은 음식이 있지만 요리가 어려울 때'(36.1%), '재료 손질이 어렵거나 레시피가 복잡한 요리를 할 때'(35.6%) 밀키트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밀키트의 장점(중복 응답)으로는 '시간 활용에 도움 된다'(93.4%)와 '식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다'(84.4%), '경제적이다'(87.9%) 등이 꼽혔다. 대체로 바쁜 현대사회에서 경제적·실용적으로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점에 대해 밀키트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읽힌다. 구매 품목(중복 응답)으로는 국·찌개·탕(45.6%), 전골·샤브샤브·나베(34.3%), 닭갈비·찜닭·닭볶음탕(32.3%) 등 재료 손질이 복잡하고 어려운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전체 응답자 중 85.5%는 향후 밀키트 제품을 구매할 계획이 있다는 의향을 밝혔다. 다만 '유명 식당의 밀키트라도 매장에서 먹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81.1%), '밀키트를 이용함으로써 일회용품 소비가 많아질 수 있다'(73.8%)는 점을 우려하는 반응이 많았다. 또 '최근 물가 상승으로 밀키트 가격도 인상될 것 같다'(90.3%)는 견해도 많았다.
# 지난 3월 A씨는 항공권 2매를 약 196만원에 구입했다. 가격 비교 사이트로 알게 된 '키위닷컴'에서다. 다음날, 개인 사정으로 항공권 취소를 요청한 A씨. 그러자 업체 측은 현금 환불이 아닌, 적립금 10유로만 크레디트를 지급했다. 이에 대해 업체에 문의하자 이미 사전 안내 및 동의를 받은 사안이며, 항공사 규정과 별개로 추가 환불은 불가하단 답변만 돌아왔다.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온라인 여행사(OTA)인 ‘키위닷컴’ 관련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 3월까지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1372소비자상담센터엔 키위닷컴 관련 국제소비자 피해 상담 총 187건이 접수됐다. 특히 올해 1분기(1~3월) 접수된 상담은 모두 95건으로, 전년도 4분기(46건)보다 106.5%나 늘어났다. 올 3월까지 접수된 상담 95건을 분석한 결과, '취소·환불·교환 지연 및 거부'가 89건(93.8%)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밖에 '계약 불이행'과 '위약금·수수료 부당 청구 및 가격 불만'이 각각 2건(2.1%), '표시·광고'와 '기타·단순 문의'가 각각 1건(1.05%)씩 접수됐다. 키위닷컴은 소비자가 개인 사유로 항공권을 취소할 경우, 취소 시기 또는 결제 금액 상관없이 적립금 개념인 10유로만 크레디트만 환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환급받은 크레디트는 해당 사이트에서만 일정 기간 이내 사용할 수 있다. 키위닷컴은 항공권을 'Saver 티켓', 'Standard 티켓' 등 변경·취소 조건이 다른 3가지 유형으로 구분 판매한다. 또 판매 페이지에 '자발적 취소 시 환불 불가' 조건을 표기하고, 이용 약관에 환불이 불가하며 10유로만 크레디트로 지급한다는 내용을 고지하고 있다. 키위닷컴 약관에는 소비자가 10유로의 크레디트 지급을 요구하지 않고, 직접 항공사에 취소·환불을 요구할 수 있다는 조항도 포함돼 있다. 하지만 항공사에선 구입처를 거쳐서만 취소·환불 접수가 가능하다고 안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를 통한 해결도 쉽지 않다. 다른 여행사에선 소비자가 항공권 취소를 요구하면, 직접 연락한 후 기준에 따라 환불할 수 있는 금액을 돌려주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소비자원은 지난해 키위닷컴을 포함한 8개 글로벌 OTA의 약관 등 거래 조건 실태를 조사하고, 사업자에게 소비자 권리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이용 약관을 권고하도록 개선했다. 하지만 이들은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특히 키위닷컴은 국제 거래 소비자포털에 접수된 소비자 상담 처리 과정에서도 이용 약관을 근거로 10유로 크레디트 이외 대금 환불을 거부하고 있다. 해외 항공사인 아메리칸 항공(American Airlines) 등 4개 항공사는 지난해 키위닷컴에서 자사 항공권을 판매하지 못하도록 조치했다. 키위닷컴에서 판매하는 항공권과 관련 소비자 불만이 자주 발생하고 키위닷컴이 운임 등과 관련된 항공사 개별 약관을 지속해 위반해서다. 소비자원은 "상품 판매 페이지와 이용약관 등에 환불 불가 조건이 고지됐다면, 취소·환불 관련 분쟁이 발생할 경우 '차지백 서비스'를 이용한 결제 취소가 어려울 수 있다"며 "불가피하게 계약을 취소할 때는 키위닷컴에 크레디트 지급을 요청하기 전 항공사에 환불이 가능한지 문의하고, 관련 분쟁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으면 국제 거래 소비자포컬에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고 말했다.
MZ세대 사이에서 위스키 열풍이 부는 가운데 올해 1분기 위스키 수입량이 같은 기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4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위스키류 수입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78.2% 급증한 8천443t로 집계됐다. 이는 해당 통계가 집계된 2000년 이래 역대 1분기 기준으로 최고치고, 전체 분기 기준으로 봐도 지난해 4분기(8천625t)에 이어 역대 2위 기록이다. 최근 위스키 수입량은 급증세다. 작년 1분기 4천738t에서 2분기 6천451t, 3분기 7천224t, 4분기 8천625t으로 증가한 바 있고, 올해 1분기에도 8천t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위스키 시장은 주 5일제, 주 52시간제 등이 시행되고, 독한 술을 멀리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며 그간 위축됐었다. 그러다 코로나를 계기로 반전이 생기며 활기를 되찾고 있다. 또 젊은 세대 사이에선 위스키에 토닉워터를 넣은 ‘하이볼’이 인기를 끌며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수입되는 위스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올해 1분기 위스키 수입액은 6천477만달러였는데,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4% 늘어 수입량(78.2%)에 비해선 증가폭이 작았다. 수입 위스키의 t당 가격은 지난해 1~2분기엔 1만1천달러 수준이었다가, 3분기 9천600달러, 4분기 8천500달러로 내렸고, 올해 1분기에는 7천700달러로 떨어졌다. 이는 상대적으로 중저가 위스키가 더 많이 수입된다는 의미다. 당분간 위스키 인기는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위스키 제조·수입업체 뿐 아니라 유통업체들도 위스키 제품군 할인·판촉 행사에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전력(이하 한전)은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 및 국민 편익 제고 방안이 포함된 추가 대책을 내놓는 한편 요금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21일 한전은 입장문을 통해 “뼈를 깎는 심정으로 인건비 감축, 조직 인력 혁신,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 및 국민 편익 제고 방안이 포함된 추가 대책을 조속한 시일 내 마련·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전 및 발전 6사를 포함한 전력그룹사(10개)는 전기요금 조정에 앞서 국민 부담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20조원 이상의 재정건전화계획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올해 2분기(4∼6월) 전기요금 인상 결정이 지연되면서 불어나는 적자를 떠안게 된 한전은 임직원의 올해 임금 인상분 반납을 검토 중이다. 한전은 “현재 전력 판매가격이 전력 구입가격에 현저히 미달하고 있어 요금 조정이 지연될 경우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며 "또 한전채 발행 증가로 인한 금융시장 왜곡, 에너지산업 생태게 불안 등 국가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를 감안해 전기요금의 적기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깊은 이해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도 했다.
고물가 시대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지역 대표적 외식 품목 가격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자취생의 간단한 요깃거리인 김밥 가격의 경우 10% 이상 상승, '8대 외식품목' 중 가장 많이 뛰어올랐다. 19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경기지역 내 대표적 외식 품목 8개 평균가격은 9천695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천890원보다 805원(9.05%) 올랐다. 대표적 외식 품목 8개는 냉면, 비빔밥, 김치찌개 백반, 삼겹살, 자장면, 삼계탕, 칼국수, 김밥이다. 김밥은 3천179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2천838원)과 비교해 12.01% 오르며,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다. 다음으로 ▲자장면 6천569원(10.10%) ▲삼계탕 1만5천966원(9.98%) ▲칼국수 8천552원(9.50%) ▲김치찌개백반 7천828원(8.87%) ▲삼겹살 1만7천131원(8.86%) ▲비빔밥 8천683원(8.57%) ▲냉면 9천655원(6.46%) 순이었다. 서울지역에서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자장면으로 지난해 3월 5천486원에서 지난달 6천800원으로 16.3나 상승했다. 삼계탕 한 그릇 가격도 1만4천500원에서 1만6천346원으로 12.7% 올랐고, 삼겹살(200g 환산 기준)도 1만7천159원에서 1만9천236원으로 12.6% 올랐다. 이처럼 외식 품목 가격이 연쇄적으로 상승하면서, 서울지역 내 1만원으로 먹을 수 있는 외식 품목은 김밥, 자장면, 칼국수, 김치찌개 백반 4종류밖에 남지 않았다.
#. A씨는 지난해 8월 해외 항공사의 항공권을 구매했다. 이후 항공편 결항 통보를 받고 업체 측에 환급을 요구했지만, 수개월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환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지난해 국외 여행 항공권과 숙박 품목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가 전년 대비 각각 92.3%, 73.9%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 거래 소비자 상담 동향 분석 결과, 전체 상담 접수 건수는 1만6천608건으로 전년도(1만4천806건) 대비 17.9% 늘었다. 특히 해외 온라인 쇼핑몰로 직접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해외 직접거래' 상담은 6천987건으로 전체 상담 건수의 42.1%를 차지했는데, 이중 '서비스 직접 구매' 관련 상담은 전년 대비 86.1%나 증가했다. 전체 상담 건수 1만6천608건 중 품목이 확인된 1만6천105건을 분석한 결과, '항공권·항공 서비스'(4천117건)와 '숙박'(1천278건) 관련 상담은 총 5천395건으로 전체의 33.5%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원은 코로나19 일상 회복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회복된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상담 유형별로는 '취소·환급 등의 지연 및 거부'가 6천807건(41%)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위약금·수수료 부당 청구 및 가격 불만' (2천669건·16.1%), '미배송·배송지연·오배송 등 배송 관련 불만' (2천216건·13.3%) 등 순이었다. 해외 업체 소재지가 확인된 6천101건을 분석한 결과, 업체가 위치한 나라가 '싱가포르'로 확인된 상담이 2천78건(34.1%)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미국'(1천26건), '중국·홍콩'(8.2%), '말레이시아'(7.9%), '스웨덴'(4.8%)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은 국제 거래 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려면 구매 전 판매자 정보·거래 조건·사기 의심 사이트 등록 여부 등을 사전에 꼼꼼히 확인할 것을 권고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피해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않을 경우 '국제거래 소비자포털'로 도움을 구하면 된다"고 말했다.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견과류 그리고 고급 드립커피까지 갖춘 구성, 어디 없을까" 부담 없는 선물 또는 답례품을 찾고 있거나, 지인과 함께 잠깐의 여유를 찾고자 하는 이들은 주목하길 바란다. 최근 혼합 견과류와 양질의 드립커피를 동시에 즐길 수 있게 구성된 제품이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입점했다. 바로 '커피앤넛(COFFEE&NUTS) 선물 세트'다. 다크초콜릿아몬드믹스넛(180g)과 모요나커피(10g) 5매가 들어있어 구성도 알차다. 견과류로만 이뤄진 기존 혼합 견과류 제품의 한계를 탈피, 견과류와 고급 드립커피를 함께 제공하며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는 데 초점을 뒀다. 맛과 건강을 함께 생각한 간식 '다크초콜릿아몬드믹스넛'은 다크초코아몬드, 구운 아몬드, 구운 캐슈넛, 헤이즐럿 등 고소한 견과류가 들어있다. '모요나커피'는 브라질 45%, 콜롬비아 40%, 에티오피아 15% 등 3종 프리미엄 생커피콩을 혼합한 블렌딩 커피다. 본연의 진한 커피 향과 입안에 감기는 단아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제품이다. 김풍승 ㈜애드웰스 대표는 "커피앤넛(COFFEE&NUTS) 선물세트는 호두, 아몬드, 캐슈넛 등 고영양 견과류에 고급 드립커피까지 건강함과 다양성, 경제성까지 갖춘 제품"이라고 자평했다. ◆ '커피앤넛(COFFEE&NUTS) 선물 세트'가 선사하는 '건강'... 아몬드·캐슈너트·헤이즐넛·원두커피 효능은 ▲ 아몬드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인 아몬드는 항산화 물질인 셀레늄과 비타민 E가 많이 함유돼 있기로 유명하다. 셀레늄은 체내에 생성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고 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비타민 E는 뇌세포 속 노폐물을 제거하며 치매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아몬드는 두뇌, 간, 눈, 심혈관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 캐슈넛 캐슈넛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 올레산은 장을 자극해 변비 완화에 도움을 준다. 또 캐슈넛에는 모발을 이루는 콜라겐, 엘라스틴 생성에 영향을 주는 아연이 풍부하게 들어있는데, 모발에 윤기가 나게 하고 탈모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이 밖에 빈혈 예방, 피로 회복, 다이어트, 뼈 건강에도 좋다. ▲ 헤이즐넛 철분과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심혈관질환을 포함한 제2형 당뇨에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비타민E가 다량 함유돼 세포보호는 물론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다. 이에 따라 노화로 인해 생기는 치매, 백내장 예방에 좋다. ▲ 원두커피 원두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 성분은 지방 분해효과가 있어 운동 전 마시면 체지방 분해에 도움이 된다. 원두커피에는 폴리페놀이라는 항산화 물질이 들어있는데,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노화 방지에 탁월, 항암효과도 있다. 또 원두커피에는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간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줘 숙취 해소에도 좋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