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회사채 금리 보합세 유지

종합주가지수가 1,000선에 바짝 다가선 가운데 회사채 금리와 원-달러 환율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6일 주식시장에서는 뉴욕 등 해외증시 호조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들의 강한 매수세에 힘입어 종합주가지수가 지난 주말보다 31.52포인트 오른 998.11로 마감됐다. 지수가 크게 올랐으나 실제 주식값이 오른 종목은 228개(상한가 21개 포함)에 머물고 내린 종목수가 하한가 3개를 포함해 602개로 훨씬 많았으며 60개 종합은 보합을 기록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각각 2억5천836만주와 3조9천366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투자주체별로는 외국인이 1천151억원어치, 기관투자자들이 1천450억원어치를 각각 순매수한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2천421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증시전문가들은 외국인들의 지속적인 매수세로 지수가 사흘만에 급등세로 돌아섰으나 정보통신과 블루칩 등 일부 지수관련주들만 오르는 차별화 장세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자금시장에서는 3년만기 회사채 유통수익률이 거래가 거의 없는 가운데 전날과 같은 연 9.75%에 마감됐으며 3년만기 국고채 유통수익률은 0.03%포인트 내린 연 8.67%에 마감됐다. 91일만기 양도성예금증서(CD)는 연 6.88%로 0.01%포인트 오른 반면 91일만기 기업어음(CP) 금리는 연 7.41%로 보합을 나타냈고 하루짜리 콜금리는 오후 4시30분 현재 전날 확정치보다 0.04%포인트 오른 연 4.69%에 형성됐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천150원대에서 소폭 오르내린 끝에 전날 종가보다 0.10원이 내린 달러당 1천150원에 마감됐다.

축산농가 고급육 생산위한 거세외면

한우 사육두수가 줄어들고 소값이 올라 고급육과 보통육과의 가격차이가 줄어들면서 사육농가들이 거세를 기피하고 있어 한우고급육화에 비상이 걸렸다. 5일 축협중앙회 산하 축산물등급판정소에 따르면 올들어 소값이 500㎏ 마리당 2만20만원을 밑돌던 1월의 경우 2만9천110두의 한우수소중 거세한우는 3천405두로 10.5%수준이었으며 8월에는 2만3천783두중 4천255두가 거세해 15.2% 출현율을 보였다. 그러나 산지 소값이 8월이후 폭등하면서 한우생산농가의 거세율이 낮아져 10월에 1만8천705두중 거세출현율이 2천455두로 11.6%에 불과하며 거세 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산지 소값이 300만원을 넘는 등 초강세를 보이면서 축산농가는 고급육이 아닌 보통육도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거세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늘어가고 있다. 쇠고기 등급간 가격차이는 국내의 경우 1.3배에 불과하나 일본은 2.3배에 이르고 있다. 축산물등급판정소의 한 관계자는 “쇠고기 등급별 가격 차이가 낮아지면서 한우생산농가들이 거세 기피현상이 빚어지고 있다”며 “고급육을 위해서는 등급별 판매구조와 소비구조를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올들어 9월까지 도축후 등급판정을 받은 한우 수소 26만460마리중 1등급은 3천750마리로 1.44%에 그친 반면 같은 기간에거세우 2만9천360만마리중 1등급 비율은 1만4천829마리로 50.5%를 차지한것으로 고급육 생산을 위해서는 거세가 기본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