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유출 방지 일자리 창출·근무환경 개선 시급
인천의 거주 근로자 대비 지역 내 고용 비중이 전국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근무환경 개선을 통해 청년층, 고학력 인재 등의 외부 유출을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0일 한국은행 인천본부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인천의 거주 근로자 대비 지역 내 고용 비중을 추정한 결과, 80% 수준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다. 같은 수도권인 서울은 118%, 경기는 90%에 이른다.
특히 인천은 서울·경기에 비해 다른 지역으로 출·퇴근하는 비중은 높은 반면, 외부 지역에서 인천으로 통근하는 근로자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에 살면서 서울·경기로 통근하는 비중은 각각 13%, 15.9%를 기록했지만, 서울과 경기에 살면서 인천으로 통근하는 비중은 각각 1.6%, 2.3%에 그친다. 핵심 생산 연령대인 30대 고용률도 76.7%로, 전국 78.9%를 밑돌며 노동력 활용 효율성도 낮다.
한국은행 인천본부와 인천시는 이날 송도 오크우드 프리미어 인천에서 ‘인천경제의 구조적 변화와 대응 방향’ 세미나를 열고 지역 내 고용 증가를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동재 한국은행 인천본부 기획조사팀 과장은 “청년층 및 고학력자의 외부 유출이 두드러지는 상황에서 이들이 정착할 수 있는 일자리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업 등 지식기반 고부가 서비스업의 육성, 노동 수요-공급 간 차이 점검,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인력을 인천에서 일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태수 인천시 경제정책과장은 “청년 인재 유치 및 정착 지원의 핵심은 첨단산업을 얼마나 육성하느냐,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얼마나 공급하느냐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일자리 정책뿐만 아니라, 인천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 지원 정책 등도 전체적으로 고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인천 산업 전반에서 생산성을 균형 있게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장연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인천의 전체 노동생산성은 전국 평균보다 높지만, 이는 운수·창고업 등 특정 산업의 생산성이 높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스마트 제조 전환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역량을 강화하고, 고생산성 서비스업을 육성하면서 전체적인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