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국산 전품목에 25% 관세”… 경기도, 위기기업 맞춤형 지원 방침

道, 지원사업 대상·한도 확대... 위기 산업군 중심 해결책 마련
수출액 3천만달러 이하 기업, 업체당 최대 ‘5천만원’ 융자

image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율의 상호 관세를 예고하면서 도내 수출기업들에 큰 피해가 우려되자 경기도가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했다. 도는 기존 지원사업의 대상과 한도를 확대, 피해 기업들을 지원하며 관세 확대가 현실화할 경우 추가 업종에도 지원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9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달 1일까지 무역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25%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현재 미국은 자동차에 25%, 철강과 알루미늄에는 50%의 고율 관세를 이미 적용 중이다. 여기에 반도체와 의약품 등 경기지역의 주력 수출 품목까지 추가로 관세 대상에 포함될 경우, 경기지역 수출 산업 전반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경기지역에서 특히 관세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등 5대 무역위기 산업이다. 이들 업종에 종사하는 도내 기업 수는 총 8천327개로 전국 대비 32%를 차지한다. 이들 기업의 수출액은 1천178억 달러로 전국 전체의 45%에 이른다.

 

실제 국가별 수출 실적 통계에서도 이러한 기업들의 우려가 점차 현실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무역통계진흥원이 발표한 ‘경기도 중소기업 수출 국가별 실적’에 따르면 5월 경기도의 대미 수출(4억9천만달러)은 전년 동월(5억2천700만달러) 대비 7% 감소했다.

 

도내 한 수출입 기업 관계자는 “기업들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방침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특히 대미 수출입의 중심축이던 중소기업들이 무너지면 산업 생태계 전체가 위협받을 수 있어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위기 산업군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지원 대상과 한도를 확대하고, 위기 대응 단계별로 구성된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방안을 마련해 실질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추진한다. 해당 사업은 오는 11일 공고되며, 수출액 3천만 달러 이하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5천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근균 도 국제협력국장은 “관세로 인해 타격이 큰 업종을 최우선으로 지원할 예정”이라며 “미국의 관세 확대가 현실화될 경우 추가 업종에 대해서도 즉각 지원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