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11 (금)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RISE 인재 양성, 산학연 협력 강화해야” [2025 경기도 정책토론회]

10일 경기도의회 중회의실에서 열린 ‘산학연 협력을 통한 RISE 산업 인재 양성, 경기도의 전략’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진기자
10일 경기도의회 중회의실에서 열린 ‘산학연 협력을 통한 RISE 산업 인재 양성, 경기도의 전략’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진기자

 

미래 핵심 산업을 이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역 기반의 산학연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고교학점제 및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와 연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10일 도의회 중회의실에서 ‘산학연 협력을 통한 RISE 산업 인재 양성, 경기도의 전략’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김길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RISE 추진본부장 등이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좌장은 김철진 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위원(더불어민주당·안산7)이 맡았으며, 토론자로는 이지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상민 경기테크노파크 전략사업본부 디지털전환팀장, 배영상 도 디지털혁신과장 등이 참여했다.

 

김길아 본부장은 “경기도 RISE 기반의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산업계 주도·수요자 중심의 교육 체계가 필수적”이라며 “산학연이 연계된 교육과정 혁신과 취창업 협력 확대를 통해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장을 맡은 김철진 위원은 “이번 토론회는 RISE 인재 양성의 전략 방향을 논의하고, 고교학점제 등 기존 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 고민하는 자리”라며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진 토론에서 토론자들은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 이지혜 책임연구원은 “경기도는 약 1천200개의 반도체 기업이 밀집해 있고 관련 인력 수요도 전국의 60%에 달한다”며 “특성화고와 대학, 기업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반도체 고등교육과정 개발, 현장실습 확대, 커리어 설계까지 연계된 교육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민 팀장은 ▲로봇·인공지능(AI) 기술 도입 기업 지원 정책 확대 ▲지역 내 연구소·대학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산학연 협력을 통한 특화 기술 개발과 스타트업 육성 등을 제안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