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동은 향교가 있는 동네라는 뜻이다. 수원향교 입구엔 홍살문과 하마비가 있는데 이는 충절을 상징한다.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에 세운 공립교육기관으로 공자와 여러 성현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 사람들을 교육하던 곳이다. 수원향교는 대성전을 비롯해 외삼문 동재, 서재, 명륜당, 내삼문 동무, 서무, 대성전 등 향교의 기능을 두루 갖추고 있다. 1787년 정조가 친림한 이곳은 대성전 아래로 유생들이 학문을 닦던 명륜당이 있는데 현재 다양한 시민 예절 프로그램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곁에 있는 유림회관의 시민교육 또한 활발하다. 이곳의 명륜대학에서는 유학반, 서예반, 다도반, 한문반, 한시반, 경전반 등의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 중이다. 또 성년이 되는 청소년에게 집체 성년례를 개최해 새로운 첫걸음을 내딛는 성년의 의미와 전통예절을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필자는 향교 입구에 마을 공동체와 함께 벽화도 그리고 솟대도 만들어 세웠는데 아직 일부가 그 자리에 있어 흐뭇하다. 한 해의 반환점을 돈 후반부가 시작됐다. 온통 초록 물감을 칠해 놓은 듯 왕성한 풀과 숲은 무표정하게 살모사의 혓바닥 같은 햇살을 받아들이고 있다. 불변의 시간은 뻔뻔히 속도를 내고 욕망의 내재율은 점점 나약해져 인생의 종말이 예술의 상실이라는 만성적 자책감이 재발한다. 한심하지만 조촐한 타협을 하자. 새파란 수평선에 뜬 흰 구름처럼 깨끗하고 한결같이.
댓글(0)
댓글운영규칙